1. 기술의 개요
가. 기술의 원리
ㅇ석탄으로부터 가연성 가스를 제조하여 이를 정제후 가스터빈 및 증기터빈 등을 구동하는 신 발전기술
나. 시스템 구성도
![](http://www.kier.re.kr/upload/contents/UNI00000fec5690-(1).gif)
다. 기술개발경위
ㅇ70년대초 독일에서 환경문제를 줄이고 발전 효율향상을 위하여 석탄가스를 활용한 IGCC 발전을 운전
라. 보급기대효과
ㅇ석탄으로부터 국가적인 청정 에너지원 확보 가능
ㅇ차세대 청정 발전기술인 IGCC 기술확보로 국제 환경에 탄력적인 대처가 가능
2. 개발목표
종류\단계별 |
'97~2001 |
2002~2006 |
석탄가스화 및 IGCC 기술 |
ㅇ 가스화복합발전 요소기술 확보
- 300MW급 IGCC발전시스템 개념
설계기술 확보
- 벤치급 가스화기 운전특성 기술확보
- 고온 정제장치 개발(PDU급) 및
파일럿 플랜트 설계 |
ㅇ 가스화 복합발전 실용화
- 300MW급 IGCC 설계기술 확보 및 장기간 운전, 신뢰성 확보
- 최적 IGCC 공정 평가능력 개발
- 요소기술개발 자립화
|
3. 국내투자 및 이용현황
가. 투자규모(기술개발) : 총 232억원 (정부 136억원, 민간 96억원)
(단위 : 백만원)
구분 연도 |
~'97 |
'98 |
'99 |
2000 |
계 |
정부지원 |
8,798 |
1,496 |
1,429 |
1,913 |
13,636 |
민간부담 |
5,952 |
1,601 |
1,274 |
767 |
9,594 |
계 |
14,750 |
3,097 |
2,703 |
2,680 |
23,230 |
* 석탄이용분야 지원과제 기준임
나. 국내 이용현황
ㅇ석탄가스화 복합발전시스템(IGCC)기술 Pilot Plant 기초 설계능력 확보
ㅇ석탄이외 중잔유, 폐기물을 활용한 가스화 플랜트 건설 검토
4.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기술명 |
국 내 |
국 외 |
석탄가스화 및 IGCC 기술 |
ㅇ 벤치급 석탄가스화장치 개발 및
연속운전
- 3T/D급 건식 가스화로 설계,
설치 운전
- 0.5T/D급 습식 가스화로 개발,운전
- IGCC용 고온 및 중저온 건식
탈황 기술 개발중
- 기타 벤치급 순환유동층 가스화
기술 개발
ㅇ 가스화와 연료전지 복합기술인
IGFC 개발 추진
ㅇ 석탄이외 중잔유, 폐기물을
활용한 가스화 플랜트 건설 검토 |
ㅇ미국
- 160㎿급 실증연구 추진중
- DOE에서 Clean Coal Technology
프로그램으로 5개 프로젝트
(총915㎿) 추진중
ㅇ네덜란드 : 250MW 실증플랜트 건설 완료, 실증 운전중(‘94)
ㅇ일본 : NEDO 주관하에 9개 전력회사, 전력중앙연구소등 11개 법인으로 구성된 ‘IGCC기술 연구조합’을 발족시켜 ‘86년부터 국가보조사업으로 250㎿급 IGCC개발진행중
|
5.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 및 제품생산(또는 개발)기업
구분 |
국 내 |
국 외 |
연구
기관 |
ㅇ 전력연구원 (안달홍 042-865-5370)
ㅇ 고등기술연구원 (윤용승 031-219-2677)
ㅇ 에기원 (박태준 042-860-3301) |
ㅇ NEDO (일)
ㅇ RETC (미국)
ㅇ DPIE (호주) |
기업 |
ㅇ (주)SK (권숙형 052-270-1210)
ㅇ 한국중공업 (장길홍 055-278-3740) |
ㅇ HRI, TEXACO, GE, ABB/CE (미국)
ㅇ Tempa Electric (미국)
ㅇ SIMENSE(독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