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뢰설비 설계 ♣ | |
|
♣ 피뢰설비 개요 ♣ | |
|
(1) 뢰운의 발생
(그림1-1) 뢰운의 발달 단계
뢰운의 특징은 구름 층의 높이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그림1-1에 뢰운이 발달하는 단계를 나타내었다. 초기의 것도 구름의 밑이 지상에서 1000∼2000m 높이에 있으며 정상부분은 8000m 상공까지 뻗혀있다.
이러한 구름의 구성은 구름 중의 공기가 점점 상승해가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종방향으로 길게 늘어선 모양을 이룬다. 이것은 상승기류가 활발해짐을 나타내는 (그림1-2) 뢰운의 전하분포 것으로 이것이 대량의 전기가 만들어 지는 원인이 된다.
그 이유는, 활발한 상승기류로 인하여 물방울이 서로 결합하여 큰입자로 되고, 상공으로 감에 따라 온도가 낮아져 얼어붙게 되어 얼음입자로 변한다. 이들 중 작은 얼음입자는 위로 날아가지만 큰 입자는 그 무게 때문에 상승기류에 지탱할 수 없게 되어 아래로 낙하한다.
이들이 떨어지면서 마찰이나 충돌 등의 복잡한 운동에 의해 +전하를 가진 부분과 -전하를 가진 부분으로 대전한다. 이들 중 일부는 낙하도중에 녹아서 강한 비를 내리기도 한다. 전하의 분포는 구름의 상부에는 +로, 아래부분은 -로 된다. 이때 대량의 전하가 만들어지므로 구름들끼리의 방전이나 낙뢰가 발생한다. 지표의 +전하는 구름의 하단부에 있는 -전하에 의해 유도되어 생긴 것이다.
(그림1-2) 뢰운의 전하분포
(2) 낙뢰
낙뢰가 발생될 때 구름과 지상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전압이 걸리게 되는가. 1㎝ 떨어진 공기절연체의 절연이 파괴되어 방전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수천볼트 이상의 전압이 필요하다. 지금 구름의 밑이 지상에서 2000m 상공에 위치해 있고 1㎝당의 방전전압이 5000볼트(V)라고 하면 낙뢰시의 전압은 약5000 X 2 X 105 = 10×108V , 결국 10억 볼트가 된다. 또, 그때의 뢰 에너지는 1회 낙뢰로 인해 중화되는 전기량을 20쿠울롱 이라고 하면 W=1/2QV(W.s) 로 되어 W=1/2 20 X 10 X 108 = 10 10 ( W.s )=2778KWh 로 된다.
(3) 여름뢰와 겨울뢰
일반적으로 대기가 불안정하면 상승 기류가 일어난다. 여름의 경우 지상 가까이에 있는 소립원 기단의 습한 공기가 확장되어 시베리아에서 불어온 찬 공기가 상공으로 진입하면 뢰가 발생되기 쉽다. 겨울에는 동해측에서 기온이 낮아지면 같은 조건이 생겨 대기가 대단히 불안하게 되어 동계뢰를 발생시킨다. 여름철 뢰와 겨울철 뢰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그림1-3 참조) ① 여름 뢰운은 1.5∼10㎞ 이상 높이의 층을 갖고 있으나 겨울 뢰운은 300m∼6㎞정도로 낮다. ② 겨울철 동해 연안에는 대기의 상층부가 하층부 보다 풍속이 강하기 때문에 뢰운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다.
(그림1-3) 여름철뢰와 겨울철뢰의 구조
전자식피뢰침의 특징
1. 개요
건축물의 보호에 있어 일반피뢰침의 설치시 다수개의 피뢰침과 다수개의 접지극을갖게 되는바 이러한 단점을 보호하기 위해서 스페인의 CIRPROTEC사는 고전압 펄스식 피뢰침을 개발하여 소수의 피뢰침과 소수의 접지극으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동작하지 않으나 낙뢰시 대기중으로 이온(IONS)을 방사하여 뇌격을 흡수 대지로 방류시키는 최첨단의 광역 피뢰침이다.
2. 뇌격 진행 과정
대기중에 뇌운이 형성되면 지표면 근처에서는 전계가 증계된다. 이전계의 세기는 약5㎸/m이상되며 지표면상의 물체의 요철에 따라 코로나 방전을 일으킨다.
뇌격은 뇌운에서 지표면으로 계단 모양의 하강리더(Down Ward Leader)를 형성하면서 시작된다. 하강리더는 많은 전하들을 운반하며 지표면에서는 지수 함수적으로 전계가 증가된다. 이 결과 지상이 한 지점에서 코로나 방전이 시작되고 [그림b] 스트리머와 상향리더(Up Ward Leader)가 점진적으로 형성 진행되어 [그림C] 결국은 뇌운에서 형성된 하강리더와 마주치게 된다.
상항리더의 진행에 따라 하강리더의 경로에 영향을 주며 [그림C] 하강, 상승리더는 점에서 만난다. [그림d] 이때 지표면과 뇌운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통전 상태가 되며 한번 또는 여러번의 후속뇌격을 동반하여 주방전 또는 귀환뇌격 (또는 주뇌격)이 일어난다. 건축물이 돌출부에서 여러개의 상향리더가 형성 될 수도 있으나 최초로
상향리더와 하강리더가 만나는 곳이 뇌격지점이 된다.
[A] [B] [C] [D]
[그림Ⅰ] 뇌격에 의한하강, 상승리더 형성 진행 과정
3.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의 동작원리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은 내부 장치에 의해서 다량의 이온(Ions)을 대기중으로 방사한다.
실제로 뇌운중에 전계의 전파조건이 충족되면 내부 장치는 초기에 먼저 상승리더(Leader)를 발생시키고 이것이 접근하는 하강리더에 최초로 접촉하게 된다.
4.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에 의한 보호상의 장점
① 시간이득 ( T)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은 상향리더의 생성 및 방사과정에 있어서
획기적으로 그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동일 환경 조건하에서 일반 피뢰침과 비교 실험할 경우 시간 이득을
알 수 있다.
전자식(ESE) 피뢰침에서 형성 방사되는 상승리더는 뇌운에서 진행된 하강
리더와 맨 처음 만나게 된다.
T로 표시되는 상향리더 형성, 방사에 대한 일반 피뢰침과의 시간차이는 고전압 성능시험 과정에서 결정된다.
② 상향리더의 거리이득(L)
일반 피뢰침 선단부에서 상향리더 방사순간, 하강리더의 끝부분도 지표면상의 어떤 일정한 높이에 위치한다. 전자식(ESE)피뢰침의 경우에는 T 만큼의
시간이득이 있기 때문에 같은 순간에 상향리더의 끝 부분은 Vu의 속도로서
이동하여 Vu × T의 거리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이 전자식(ESE) 피뢰침에 의한 상향리더의 거리이득 ( L = Vu × T)이다.
5.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의 보호범위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의 피뢰보호범위는 프랑스 표준 NF C17-102와 스페인규격 21186-96에 의해
Rp= |
단, h 5m인 경우 |
h 5m인 경우 Tabel참조
Rp = 피뢰보호반경
h = Nimbus의 높이
D = 뇌격거리(striking distance) [ D=10×1⅔, Ⅰ= 뇌격전류(KA)]
보호등급 Ⅰ일 경우 D = 20m
보호등급 Ⅱ일 경우 D = 45m
보호등급 Ⅲ일 경우 D = 60m
L = 상승 스트리머 전진거리
L = V(m/μsec) ×T(μsec) [V = 1(m/μsec), 상승스트리머의 속도]
= 1(m/μsec) × T(μsec)
= T(m)
표2.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의 보호반경표
6.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의 외형
①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의 외형도는 다음과 같다.
② 규격별 SIZE
7. 전자식(ESE) 피뢰침(Nimbus)의 시방서
① 무 전원 공급 방식이다.
② 평상시에는 동작하지 않고 낙뢰시에만 동작한다.
③ 스트리머 방사시에 고주파의 전파를 발생하지 않고 방사성 물질등에
이온(IONS)가 방사 되지 않는다.
④ 피보호물 상부의 직격뇌뿐만 아니라 측뇌도 완전히 보호 할 수 있다.
⑤ 양이온(+)과 음이온(-) 뇌운에도 각 극성에 대응하는 상항스트리머가
발생되므로 완벽 하게 보호 가능하다.
⑥ 보호반경, 동작특성 T의 값 들은 NFC 17-102, NFPA780, UNE21186-96에 적합
하고 인증서 및 제품품질보증서가 각 모델 별로 있다.
⑦ 모든 재질은 스텐인레스(Stainless-steel)로 되어 있다.
8. 전자식(ESE) 피뢰침(Nimbus)과 일반 피뢰침의 비교분석
◆ 전자식(ESE) 피뢰침(Nimbus) 자세히보기
◆ 전자식(ESE) 피뢰침(Nimbus) 자세히보기
'[참고 자료] > 전기 기자재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명칭 및 용어변경 (0) | 2010.04.14 |
---|---|
광케이블의 종류 (0) | 2009.09.28 |
전선의 종류 (0) | 2009.05.05 |
DV전선 및 OW전선 허용전류 (0) | 2009.05.05 |
CNCV와 CNCV-W의 차이점 (0) | 2009.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