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처치 요령
Ⅰ. 심폐 소생술 Ⅱ. 지혈방법 Ⅲ. 붕대 감는 방법
|
Ⅰ. 심폐소생술
1. 심폐소생술 실시의 목적
가. 정의
○ 심폐소생술은 심정지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인공으로 호흡과 혈액순환을
유지함으로서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시켜 생물학적 사망으로의 전환
을 지연시키고자 하는 노력이다.
○ 즉, 심폐소생술의 목적은 심폐정지 또는 부전에 따른 비가역성 뇌무산소증
을 방지함에 있다. 뇌무산소증은 심폐정지 후 4분 내지 6분 이상을 방치하
면 발생하므로 이 시간 이내에 소생술이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
다.
나. 심폐소생술의 역할
○ 심정지가 발생하였을 때 환자의 소생에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른 시간 내에
심폐소생술로서 순환 및 호흡을 유지시켜 조직 내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이
다.
○ 전문인명구조술(ALS)이 가능할 때까지 혈액 내로의 산소 공급과 신체 조
직으로의 혈류를 유지함으로써 중요한 장기(뇌, 심장)의 허혈성 손상을 최
소화하여 시간을 벌어준다.
○ 기본 인명구조술(BLS)만으로 심폐정지 환자를 소생시킬 수 있는 경우는
아주 드물며, 자발순환과 자발호흡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심실제세동을 포
함한 전문인명구조술이 신속하게 뒤따라서 시행되어야 한다.
2. 심폐소생술 시행을 위해 확인해야 할 사항
○ 심폐소생술의 시행을 위해서는 심폐정지 때 나타나는 다음의 상태를 확인
해야 한다.
- 경동맥, 대퇴동맥, 요골동맥의 맥박을 촉지 할 수 없다. 특히 심장정지의
확인을 위해서는 반드시 경동맥을 5∼10초간 촉지 해야 한다.
- 심음, 호흡음을 들을 수 없고 호흡운동이 없거나 발작성으로 나타난다. 이
의 확인을 위해서는 환자의 기도가 열리도록 조작한 후 환자의 입과 코 근
처에 자신의 귀를 가까이 대고 호흡음을 듣고, 환자의 호기를 느끼며, 흉곽
이 움직이는지를 5∼10초간 확인해야 한다.
- 갑자기 창백하거나 청색증이 나타난다.
- 동공이 산대되어 있으며 의식이 없고 통증 자극에 반응이 없다.
- 경련증과 간질증세가 나타난다.
3.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가. 기도유지의 여러 가지 방법
○ 두부 후굴법
- 가장 간단히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처치자의 한손을 환자의 이마에 대
고 최대한으로 환자의 이마를 뒤로 젖혀준다.
○ 두부후굴 - 하악 거상법
- 환자의 이마를 뒤로 젖힘과 동시에 턱을 잡고 윗니와 아랫니가 거의 닿을
정도로 턱을 앞으로 잡아 당겨준다. 이때 구강대 비강호흡법을 시행하지 않
는 한 환자의 입이 완전히 닫히지 않도록 유의한다.
- 턱을 잡아당길 때 턱밑의 연조직을 압박하여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
다. 왜냐하면 연조직을 압박함으로 인하여서도 기도가 폐쇄될 수 있기 때문
이다.
○ 두부 후굴 - 경부 거상법
- 한손을 환자의 이마에 대고 이마를 뒤로 젖히고 다른 손은 환자 목 밑에 넣
어 부드럽게 목을 위로 들어 올려준다. 이 방법은 머리와 목이 연결되는 부
위를 들어주어 기도를 개방하는 방법인데, 첫 번째 경추를 너무 과도하게
들어주면 안 되므로, 처치자의 손이 첫 번째 경추를 지지하면서 목을 들어
올린다.
○ 3중기도 확보법
- 처치사가 환자의 머리 쪽에 앉아서 처치자의 네 손가락을 환자 턱의 각진
부분에 놓은 뒤,
㉠ 하악골을 앞쪽으로 강하게 당긴다.
㉡ 머리를 뒤로 젖힌다.
㉢ 엄지손가락으로 환자의 아랫입술을 아래쪽으로 민다.
- 이 방법은 휴대용 구강호흡마스크와 함께 병행하면 더욱 유용 하다.
○ Jaw thrust 방법
- 경추손상 환자의 경우에는 머리와 목을 절대로 움직여서는 안된다. 그러므
로 환자의 머리를 중앙에 그대로 자연스럽게 두고 환자 턱의 각진 부분을
위로 잡아당긴다.
- 혹은 엄지손가락을 환자 입안에 넣고 머리와 목을 고정시킨 뒤 아래턱과
혀를 위로 잡아당겨 준다.
나. 호흡유지를 위한 처치
○ 호흡확인
- 기도를 개방하는 동안 환자의 입과 코에 귀를 댄다. 혹은 가슴을 보고, 듣
고, 느껴서 환자의 가슴이 오르락내리락 하는지, 호기중의 공기배출소리가
들리는지, 환자가 내쉬는 공기가 느껴지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만약 호흡
이 있다면 기도개방 만으로도 충분하다.
○ 인공호흡
- 대부분의 경우 구강대 구강법이 간편하므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처음 인
공호흡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1.5∼2초에 걸쳐 충분히 2회 호기를 시켜 가슴
의 움직임을 확인한다..
- 한손은 환자의 이마를 누르고 그 손의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비강을 폐쇄
시킨 후 처치자의 입으로 환자의 입을 밀봉한다. 매 1.5∼2초에 걸쳐 호기
를 충분히 시킨다.
- 매번 인공호흡시마다 환자의 가슴이 올라가는지 확인한다. 인공호흡이 적
절히 이루어진다면
(1) 환자의 가슴이 올라갔다 내려간다.
(2) 풍선을 부는 것처럼 아무런 저항감 없이 공기가 환자의 폐에 들어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3) 환자가 수동적으로 숨을 내쉴 때 환자 입에서 공기가 새어나 오는 소리
를 들을 수 있고 느낄 수 있다.
○ 순환
(1) 맥박확인
- 기도개방 후 2회의 인공호흡을 연속 실시한 뒤 환자의 맥박을 확인한다. 이때는 환자의 경동맥을 이용한다..
(2) 확인 방법
(가) 한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누른 채 반대편 손가락은 환자의 Adam's apple
에 손을 댄다.
(나) 환자의 후두와 목 근육이 만나는 부위까지 손가락을 이동시켜 경동맥이
뛰는지 확인한다.
(다) 맥박이 뛰고 있으면 약 12회/분의 속도로 인공호흡만 제공한다. 경동맥
이 뛰지 않으면 흉부 압박 법을 실시해야 한다.
다. 심장 압박부 확인 및 자세
○ 압박부 확인
- 성인의 경우는 흉골의 하반부위에서 흉부를 압박한다. 이 부위를 누르면 흉곽내압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심장내의 혈액이 밀려 나간다. 정확한 부위에서 흉부를 압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한다.
- 처치자는 환자를 향하여 무릎을 꿇은 뒤 환자의 가슴 가까이에 무릎을 댄
다.
- 처치자는 환자의 다리 쪽에 위치한 손(예를 들어 환자의 왼편에 무릎을 꿇
었다면, 처치자의 왼손이 된다)의 2째와 3째 손가락을 늑골을 따라
올라가 흉골과 늑골이 만나는 검상돌기에 댄다.
- 3째 손가락을 환자의 흉골 위의 검상돌기에 대고 2째 손가락을 그 위에 붙
인다.
- 반대편 손가락을 흉골 위에 댄 2째 손가락에 붙여댄다. 손꿈치는 반드시 흉
골의 장축을 따라 위치시켜야 한다.
- 검상돌기에 대었던 손가락을 떼어서 흉골 위에 댄 손등 위에 포갠다. 일단
은 두 손을 평행하도록 포갠 다음 손가락을 꽉 편다.
- 간혹 손가락을 펼 수도 있고 혹은 손가락끼리 꼬을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
절대로 손가락이 환자의 가슴에 닿으면 안 된다. 손 가락이 환자 의 가슴에
닿은 체 흉부압박하면 늑골이나 늑골연골의 골절 가능성이 커진다.
○ 압박 시 자세
- 손의 위치가 올바로 놓여지면 다음과 같이 흉부를 압박한다.
- 팔을 엇갈리게 한 채 처치자의 어깨는 처치자 손의 바로 위에 위치시 킨다.
이렇게 해야 흉부압박시의 힘이 곧바로 환자의 흉부로 전달된다.
- 이런 힘이 옆으로 분산되면 환자의 몸체가 미끄러지고 제공되는 압력이 분
산되어 흉부 압박이 비효율적이다.
- 압박에서 다음 압박까지 5초 이상 정지해선 안 되며, 팔의 수직상태를 유지
하고, 팔꿈치를 구부려 서는 안 된다.
- 정상 성인의 경우는 흉골이 4∼5㎝정도 내려가게 눌러야 효과적 이다.
- 흉부압박 시에는 이완과 압박이 50 : 50이 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압박하면 압박시간이 너무 길어지고 이완기간이 짧아
지기 쉽다.
- 가능하면 퉁기듯이 흉부압박을 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하면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오히려 흉부손상을 입힐 수 있다.
- 흉부압박을 규칙적으로 부드럽게 멈추지 말고 실시해야 한다.
- 압박과 압박사이에 환자의 가슴에서 손바닥을 떼지 말고 그대로 둔 채 실
시해야 한다.
- 손의 위치가 도중에 이동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손바닥의 위치가 검상돌기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간 채 흉부를 압박하면 간장 파열 및 치명적 내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 도중에 손이 움직였다면 다시 정확한 위치에 손이 놓였는지 반드시 재확인
해야 한다.
○ 1인 심폐소생술
○ 2인 심폐소생술
라. 심폐소생술의 부작용 및 유의사항
○ 심폐소생술을 하여도 소생이 안 되는 경우
- 심폐소생술의 방법이 부정확하거나 시간이 지연되었을 때
- 심장 압전이나 출혈로 혈액이 새어나갈 때
- 심한 폐질환이나 혈액 공급이 부족 시
- 심한 전해질 불균형 시
○ 심폐소생술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 흉골이나 늑골 골절
- 폐 손상(폐기종, 폐 좌상 등)
- 간 열상, 내장 손상 등
- 대사성 산독증이나 뇌손상으로 전신 경련 발생
- 중추 신경계 손상
- 전신성 산소 결핍증
- 신부전, 울혈성 심부전
- 인공호흡으로 인한 위장 팽만과 위 내용물의 역류
- 기관지의 흡인 같은 위험성이 존재 할 수 있다..
Ⅱ. 지혈 방법
1. 지혈점
○ 두 피: 귀 바로 앞을 엄지손가락으로 뼈에 대고 누른다.
○ 얼 굴: 아래턱의 움푹 패인 곳을 손가락으로 누른다.
○ 목 : 엄지손가락을 목뒤로 돌리고 다른 네 손가락을 목 측면에 대고 엄지손
가락 쪽을 향해 강하게 압박한다.
○ 가슴이나 겨드랑 밑 :쇄골 위의 움푹 패인 곳에 엄지손가락을 대고 강하게
압박한다.
○ 팔 : 네 개의 손가락을 상박 부 안쪽에 대고 근육 사이의 홈을 압박한다.
○ 손 : 엄지손가락을 손목 안쪽에 대고 뼈를 향해 압박한다.
○ 다리 :손목을 다리 기부의 홈에서 넓적다리 안쪽에 대고 뼈를 향해 강하게
압박한다.
2. 직접 압박 법
○ 상처 위의 거즈나 깨끗한 천을 직접 대고 압박한다.
○ 다친 팔이나 다리를 심장보다도 높이 치켜 올린다.
○ 너무 조이지 않을 정도로 붕대로 동여맨다.
3. 지혈대 감는 법
○ 팔 다리의 출혈이 직접 압박법으로는 아무리 해도 멎지 않을 경우는 지혈
대를 감는다.
※ 처치법
- 지혈대는 삼각건이나 스카프를 5㎝ 가량의 폭으로 접어서 지혈점과 상처
사이의 압박해야 할 동맥 위에 놓습니다. 지혈대의 폭이 좁으면 신경 등을
상하게 할 수 있다.
- 혈관 위에는 손수건 같은 작게 접은 것을 댄다.
- 지혈대는 만약 그 사이에 관절이 있는 경우는 지혈대를 관절보다 위쪽에
놓습니다. 지혈대를 두를 부위의 의류는 그리 두껍지 않는한 그 위에다 지
혈대를 놓는다.
- 지혈대는 상처가 있는 팔이나 다리 주위에 단단하게 이중으로 돌려서 반
맺음을 한다.
- 길이 20-30㎝의 튼튼한 막대기를 매듭 위에 놓고 막대기가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동여맨다.
- 막대기를 뒤틀어서 돌려 출혈이 멎을 때까지 지혈대를 조인다.
- 지혈을 하고는 막대기를 지혈대의 남은 부분이나 다른 끝으로 그 자리에
고정시킨다.
- 지혈대를 한 정확한 시각을 펜이나 루즈로 지혈대나 이마에 기입해 둔다.
- 지혈대를 감으면 2시간 이내에 의사의 진찰을 받는다.
- 24시간이 경과하면 조직은 대개 회사해 버린다. 아무리 해도 의사의 치료
를 받기가 어려울 경우는 1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쇼크에 주의하면서 일
단 지혈대를 풀어서 혈액을 순환시킨다. 그 때 출혈점은 거즈로 압박해서
지혈해 둔다. 압박지혈로도 지혈할 수 있을 때는 그대로 붕대를 감아
둔다. 지혈이 안 되는 경우는 5분가량 지나거든 다시 지혈대를 감아 준다.
- 조직의 회사를 방지하는 데는 의사의 진료를 받을 때까지 이상과 같이 시
간마다 지혈대를 다시 감는다. 동시에 될 수 있는 대로 출혈량을 적게 하여
출혈에 의한 쇼크를 방지해 준다.
○ 출혈이 심한 경우
- 외상, 객혈, 토혈 등으로 심한 출혈일 경우는 곧 병원으로 데려 가거나 구
급차를 부른다. 피부가 창백하고 식은땀을 흘리고 호흡이 가쁜 쇼크 상태
를 위험한 상태이다.
○ 내출혈
- 머리, 배, 가슴에 맹렬한 강타, 또는 타박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내출혈의
염려가 있다.
- 음료수를 주어서는 안 된다.
- 안정과 보온을 위해 눕히고 그 위에다 가벼운 것을 덮어 준다.
- 머리를 옆으로 향하게 하여 숨통이 막히지 않고 수월하게 호흡할 수 있도
록 한다.
- 곧바로 병원으로 데리고 간다.
Ⅲ. 붕대 감는 방법
○ 거즈는 상처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약간 크고 두텁게 댄다.
○ 붕대로 직접 상처를 덮는 일이 없도록 한다.
○ 보호 거즈는 멸균 거즈가 좋지만 없으면 일시적으로 깨끗한 천을 다리미
나 라이터 불로 열을 가해서 사용해도 좋다.
○ 지혈의 목적 이외에는 너무 단단히 조이지 않는다.
○ 감아서 끝나는 부분은 다친 부위나 관절은 피해서 끝내 준다.
1. 머리의 붕대
○ 머리를 붕대로 처치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우므로 가정에서는 삼각건이나
레테러타이를 사용하는 게 좋다.
○ 레터러타이(스타킹 네트)는 신축이 있기 때문에 머리나 귀의 거주를 고정
시키는 데 편리하다. 머리 꼭대기에서 코끝까지의 길이로 잘라 한쪽 끝을
테이프로 고정하고 다른 한쪽 끝에서 2-3㎝ 되는 곳의 그물코를 몇 개 끊어
양손으로 벌려 덮어씌웁니다.
2. 눈이나 귀의 붕대
○ 역시 삼각건이 편리하다.
○ 몇 번씩 접어서 띠 모양으로 한다.
○ 눈을 다쳤으면 상처가 한쪽 눈뿐이더라도 양쪽 눈을 붕대로 감는다. 눈은
너무 조이지 않도록 한다.
3. 어깨. 팔의 붕대
○ 어깨의 붕대
- 어깨가 가운데가 되도록 대고 겨드랑이 밑에서 묶는다.
- 다시 남은 끝을 한 번 더 묶는다
○ 팔의 붕대
- 걸치려고 하는 팔꿈치 쪽에 삼각건의 정점을 가져간다.
- 정점은 핀으로 꼿거나 묶어 둔다.
4. 손, 팔꿈치, 사지 의 붕대
○ 먼저 손목에 감고 나서 손바닥으로 돌린다. 마지막에도 손목에서 끝낸다.
○ 팔꿈치는 8자 모양으로 감아 두어도 된다.
○ 사지는 끝에서 3번 감고2/3씩 겹쳐서 감으면 밀려나지 않는다.
5. 손가락이 골절되었을 때의 붕대
○ 긴급할 때 붕대가 없을 경우는 손수건, 넥타이, 스타킹, 자른 셔츠 등도 붕
대로 사용할 수 있다.
6. 팬티스타킹 응용붕대
○ 팬티스타킹의 신축성을 이용해서 붕대 대용으로 하거나 붕대를 누르는데
활용하면 감기 어려운 부분이라도 간단하게 처치할 수가 있습니다.
○ 몸에 달라붙는 까닭에 벗겨지는 일이 없고 신체의 어떤 부분에도 사용할
수가 있고 허리부분을 잘라서 끝을 맺으면 머리에서 푹 덮어 쓸 수 있어서
어려운 머리 붕대도 쉽게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 안전보건관리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교육 - 올바른 승주(承柱) 및 하주(下柱) 방법 (0) | 2009.07.10 |
---|---|
안전교육 - 안전장구 사용 및 점검방법 (0) | 2009.07.10 |
안전교육 - 전기 위험성과 감전예방 (0) | 2009.07.10 |
심폐소생술 동영상 (0) | 2009.07.07 |
여름철 건강관리 동영상 (0) | 200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