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전기, 전력 일반

지중 배전

凡石 2010. 10. 25. 11:16

 

  제1장 지중선로 개요

1. 지중선로 현황

가. 지중화 추진경위
  우리나라의 가공배전선지중화는 1973년 효자동에서 광화문구간까지 복잡하게 시설되어 있는 배전선을 전선정비측면에서 간선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를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 다음과 같이 계획되어 확장되고 있다.
  ㅇ '75. 9 : 서울 4대문안 주요간선도로변 지중화지시 (대통령)
  ㅇ '82. 1 : '86 아시안게임 및 '88 올림픽경기 대비 지중화계획 수립
  ㅇ '85. 4 : 지중화 계획보고 (1986 ∼2001) (한전 → 동자부)
  ㅇ '85. 6 : 지중화계획 추진지시 (동자부 → 한전)
  ㅇ '86∼ : 서울중심부, 6대도시 등 지중화 필요지역 선정 시행

 

 나. 지중화 사업
  (1) 지중배전 계획사업
   가공선로 구성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지역등
  ㅇ 가공선이 집중되어 있는 변전소 인출 부근
  ㅇ 고가도로, 고속도로, 철도 등을 횡단하는 장소
  ㅇ 부하밀도가 높고 고층빌딩으로서 공급여력을 확보하는데 다회선 구성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개소
  ㅇ 사업비지원, 지역주민 및 행정관서와 업무협조가 원활한 지역 등 변전소 건설시나 기존변전소 주변압기 증설시 다회선의 배전선을 인출하기 위해 전력구 또는 배전지중 대비관로를 시설 장차 부하증가에 대비 배전선 지중화를 추진함

 

  (2) 신규개발단지 조성에 따른 지중화
   도시계획권자가 도시환경 미화, 도로중복 굴착으로 인한 교통체증, 시민생활 불편 및 예산 절감을 위해 처음부터 개발단지내에 공동구를 건설, 전력선을 지중으로 건설토록 도시계획함에 따라 행정부처와 협의, 추진하는 지역으로 예를 들면, 여의도, 목동지역, 중문관광단지, 보문단지, 상계, 중계, 구미, 안산시 등

 

  (3) 가공배전선 지중화
  1975년 9월 서울시내 4대문안 주요간선도로변에 복잡하게 시설되어 있는 가공선(전화, 전력선 등)을 정비토록 대통령이 지시함에 따라 서울시 주관으로 관련부서간 실무자회의를 통해 지중화 사업계획(1977 - 1981, 32km)을 수립.
  ㅇ 1977년도 서울역에서 시청간의 지중화설계시 접속자재는 외자를 사용하였으며 개폐기 대신에 분기접속재를 사용 계통을 구성함.
  ㅇ 1978년 남대문에서 안국동, 종로, 청계천의 지중화 계시는 지상변압기, 개폐기(6.6kV O.S를 철재함에 내장) 설계 시공함.
 이후 도시미관 개선에 대한 지중화사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가공선 지중화사업이 계속되고 있으나 지상기기 공간확보 문제점 등에 의해 사업추진이 어려운 상황임.

 

 다. 지중선 설비
  ㅇ 설비 현황

구  분

케이블(C-km)

변압기(대)

개폐기(대)

맨  홀
핸드홀(개)

관  로(km)

'96. 12

 11,938

16,555

 12,430

20,660

3,214

'97. 12

 13,382

18,449

 14,442

24,707

3,615

증가율(%)

12.1

11.4

16.2

19.6

12.5

    * 가공전선 전년대비 증가율 : 4.5%

 

  ㅇ 연도별 지중화율

년  도  별

'92

'93

'94

'95

'96

'97

'98
예상

지중화율 (%)

5.1

6.0

6.6

7.3

7.9

8.4

9.3

    * 최근 5년 평균증가율 : 0.33%

 

  ㅇ 주요도시별 지중화율

도  시  명

서 울

인 천

대 전

대 구

광 주

부 산

지중화율 (%)

44.0

20.2

20.1

12.3

19.9

20.8

    * 외국 주요도시 지중화율
      런던(100%), 파리(100%), 동경(38.3%)

 

 라. 지중선로의 필요성
 지중선로는 주요지역의 미관확보와 가공선로 시설이 불가능하고 유지보수가 곤란한 지역 등에 시행되며 적용개소는 다음과 같다.
  ㅇ 전기설비기술기준, 기타관계 법규(도로법, 도시계획법, 건축법, 하천법, 공원법, 소방법 등에 의해 제한을 받아 가공선로를 시설할 수 없는 개소
  ㅇ 지중공급지역, 지중배전 공급예정지역, 지중화 확정지역에서 배전선로를 시설하는 경우
  ㅇ 행정관서 또는 고객의 요청으로 지중선로로 공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개소
  ㅇ 발변전소 인출구 등 회선수가 많아 가공전선로로 시설하기가 곤란한 개소
  ㅇ 장경간으로 가공선로 시설이 곤란한 개소
  ㅇ 기타 시설방법, 보안상 및 기술적으로 지중선로로 시설함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개소

 

2. 지중전선로 공사방식

 가. 종류 및 적용 기준
  (1) 직매식
    전력케이블을 직접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케이블 보호재로서 트러프(trough)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보호하며, 모래를 충진 뒤 뚜껑을 덮고 되메우기 한다.
   ㅇ 케이블 회선수가 2 회선 이하
   ㅇ 장래 회선증설이 예상되지 않는 경우
   ㅇ 추후 굴착이 용이한 경우
   ㅇ 기타 여건상 부득이한 경우


<그림 1-1>   직매식 단면도

 

  (2) 관 로 식
    합성수지관, 강관, 흄관 등 관재(pipes)를 사용하여 관로를 구성한 후 케이블을 부설(敷設)하는 방식으로써, 일정 거리의 관로 양끝에는 맨홀을 설치하여 케이블을 설치하고 접속한다.
   ㅇ 케이블 회선수가 3회선 이상 9회선 미만
   ㅇ 장래 회선증설이 예상되는 경우
   ㅇ 도로예정지역으로 도로포장계획이 있는 경우
   ㅇ 직매식이 불리한 경우


              
<그림 1-2>   관로식 단면도

 

  (3) 전 력 구 식
    터널(tunnel)과 같은 상부가 막힌 형태의 지하구조물로써 내부 벽측에 케이블을 부설하고 유지 보수작업을 위한 작업원의 통행이 가능한 크기로 건설비가 많이 소요되어 보통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한다.
   ㅇ 케이블 회선수 9회선 이상
   ㅇ 도로양측에 관로의 분할시공(8공 이하)이 불가능할 경우
   ㅇ 발·변전소의 케이블 다회선 인출개소
   ㅇ 직매식, 관로식이 곤란한 경우

 

【참고】
   o 덕트식 : 발변전소의 구내 등에서 관로나 전력구로 시설하기가 곤란하고 중량물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경우에 설치하며 상부전체가 개폐가능한 형태의 지하구조물
   o 공동구 : 도시계획법에 의거 동일구조물내에 소유주가 다른 2이상의 시설물을 설치하여 공동으로 사용하는 지하구조물


<그림 1-3>    전력구 단면도

 

 나. 공사방식별 장단점

 구  분

 장        점

 단       점

직매식

- 공사비 저렴
- 공사기간 짧음
- 굴곡개소 시공 용이
- 열발산 양호

- 외상사고 발생우려
- 보수, 점검 불편
- 증설, 철거 곤란

관로식

- 증설, 철거 용이
- 보수, 점검 비교적 용이
- 외상사고 발생우려 감소

- 공사비 증가
- 회선량 많을수록 송전용량 감소
- 굴곡개소 시공 곤란
- 케이블 신축 흡수력 저조

전력구식

- 다회선 포설 용이
- 보수, 점검 편리
- 증설, 철거 편리
- 외상사고 발생우려 없음
- 열발산 양호

- 공사비 고가
- 공사기간 장기간 소요
- 케이블 화재시 파급확산

  

3. 지중선로 특징

구   분

지   중   전   선   로

가   공   전   선   로

계통구성

- 환상(loop, open Loop)방식
- 망상(network)방식
- 예비선 전환방식

- 수지상(樹枝狀)방식
- 연계(tie-line)방식
- 예비선 전환방식

공급능력

- 동일 루트(route)에 다회선 가능하여 도심지역에 적합

- 동일 루트(route)에 4 회선 이상 곤란하여 전력공급에 한계

건설비

- 건설비용 고가

- 지중설비에 비해 저렴

건설기간

- 장기간 소요

- 단기간

외부영향

- 외부 기상여건 등의 영향 거의 없음

- 전력선 접촉이나 기상조건에 정전빈도 높음

유지보수

- 설비의 단순고도화로 보수업무 비교적 적음

- 설비의 지상노출로 보수업무 많은 편임

유도장해

-  차폐케이블 사용으로 유도장해 경감

- 유도장해 발생

안전도

- 충전부의 절연으로 안전성 확보

- 충전부의 노출로 적정이격거리 확보 필요

설비보안

- 지하시설로 설비 보안유지 용이

- 지상노출로 설비보안 유지 곤란

환경미화

- 쾌적한 도심환경 조성

- 도심환경 저해요인

고장형태

- 외상사고, 접속개소 시공 불량에 의한 영구사고 발생

- 수목접촉 등 순간 및 영구 사고 발생

고장복구

- 고장점 발견이 어렵고 복구 어려움

- 고장점 발견과 복구 용이 

송전용량

- 발생열의 구조적 냉각장해로 전선에 비해 낮음

- 발생열의 냉각이 수월해 송전용량이 높은 편임

신규수용

- 설비구성상 신규수용 대응 탄력성 결여

- 신규수요에 신속대처 가능

이미지

- 전력설비의 현대화
- 설비안전성 이미지 제고

- 전통적 전력설비
- 위험 설비

기  타
특수성

- 지상기기 설치공간 확보
- 시공상태 사후점검 곤란
- 설로매설위치 확인 곤란
- 공사시 다수의 대관 승인
- 굴착통제로 적기 시공곤란
- 도심지 야간공사  시행

 


4. 계통구성 방식

가. 검토 사항
  (1) 수용가의 공급신뢰도 유지 수준(고장시 정전범위와 시간)
  (2) 지역의 특성과 동향(상가·주택지역, 도로정비상황, 장래 지역동향)
  (3) 수요의 특성과 동향(부하밀도, 부하 구성상태, 장래 수요동향)
  (4) 설비 운영과 보수의 용이성
  (5) 타계통과의 연계

 

 나. 특고압 지중배전계통
  (1) 방사상(防射狀, radial system) 방식
 
   ㅇ 특 징
     - 전원변전소로 부터 1 회선 인출 수용가 공급
     - 경제적 공급방식
     - 신규부하 증설 용이
     - 케이블 고장, 공사, 설비점검시 모든 수용가 정전
     - 지중선 계통 부적합

 

  (2) 상용예비선 전환방식(spare line transfer system)
  
   ㅇ 특 징
     -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변전소나 뱅크(bank)에서 본선과 예비선 인출
     - 상시 본선으로 공급하고 본선로 고장이나 공사시 예비선으로 전환 공급
     - 예비선 전환시 순간정전 내지 단시간 정전 수반
     - 개폐기 전환방식
      . 자동전환 (ALTS) 방식
      . 원격조작 (remote control) 방식
      . 수동조작 방식

 

  (3) 환상 공급방식

   ㅇ 특 징
     - 순수 환상방식(loop system)
       . 동일 변전소 동일 뱅크(bank) 에서 2 회선으로 상시 공급
       . 선로고장시 고장구간 양측의 계전기 통해 차단기를 동작
       . 건전선로에 의한 수용가 무정전 공급 가능
       . 보호 및 차단장치 등으로 설비구성 고가
      - 개방 환상방식(open loop system)
       . 동일 변전소 동일 뱅크 또는 변전소나 뱅크를 달리하여 양계통을 연계하고 선로 부하중심을 상시 개방 운전
       . 선로고장시 고장점 탐색 및 개폐기 조작방식에 따라 정전시간 좌우
       . 설비의 경제적 이점 등으로 실제 지중계통에 많이 적용

 

   (4) 스포트 네트워크 방식(spot-network system)

    ㅇ 특 징
     - 일반적으로 동일 뱅크(bank)에서 보통 3회선을 인출하여 필요 개소에서 각각 분기하고 차단기나 단로기를 거친 후 변압기와 연결
     - 변압기 2차측에 퓨즈(fuse)와 차단기로 구성된 네트워크 프로텍타(network protector)를 통해 2차측 모선이 서로 연결되어 각 변압기 병렬운전
     - 변압기 1차측 1선로 고장시 나머지 2회선으로 2차측 병렬 모선을 통해 부하측에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으나 공사비 고가
     - 선진외국의 경우 대형빌딩 단위로 본 공급방식이 보편화
     -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한군데도 적용되어 있지 않음

    - 부하 적응성 : 500~10,000㎾ 범위 부하공급
    - 공급 신뢰도 : 1회선을 케이블이나 변압기고장에도
                           2차 병렬모선을 통해 무정전공급 가능
    - 선로 이용률 : 환상(loop) 공급방식의 50%에 비해
                           3회선 네트워크 방식은 67%
    - 전압 변동률 : 변압기 2차측의 병렬운전으로 부하분담이
                           균일하여 상시 부하변동에 대한 전압변동 적음


  (5) 혼합 방식
  

 다. 저압 지중배전계통
  (1) 방사상 인입방식
    
   ㅇ 특 징
     - 변압기에서 수용가에 단독으로 인입
     - 변압기 주변 케이블 매설량 과다
     - 공급신뢰도 양호하나 비경제적
 
  (2) π 형 인입방식
    
   ㅇ 특 징
     - 고압계통의 환상방식(loop system)처럼 수용가를 π 형상으로 연결하고 말단에서 타변압기와 연결
     - 케이블의 용량은 모든 부하에 의해 결정되어 케이블이 굵어짐
     - 케이블고장시 부하절체 가능
     - 공급신뢰도가 특히 요구되는 수용이나 지역 적용

  (3) Τ 형 인입방식

   ㅇ 특 징
     - 저압 간선케이블에서 인입케이블을 Τ분기하는 방식
     - 간선케이블 고장시 모든 수용 정전
     - 부하변동에 따른 전압변동 발생
     - 공급신뢰도나 전압변동률이 타공급방식에 비해 떨어짐

  (4) 혼합 방식

   ㅇ 특 징
     - 방사상과 Τ형 혼합방식
     - 우리나라에서 적용

  (5) 레귤라 네트워크(regular network) 방식

   ㅇ 특 징
     - 고압계통의 스포트네트워크 방식과 같이 보통 3회선의 1차선로에서 Τ분기하여 단로기를 거쳐 변압기와 연결
     - 변압기 2차측은 네트워크 프로텍타(network protector)를 통해 그리드(grid) 케이블로써 각 변압기가 상시 병렬운전
     - 그리드(grid) 케이블은 한류(限流)퓨즈(limiter fuse)와 접속
     - 스포트네트워크 방식은 변압기 2차측이 단일모선이나, 레귤라 네트워크 방식은 그리드케이블로써 환상(loop) 형태
     - 스포트네트워크와 같은 무정전 공급방식으로 공급신뢰도 우수
     - 전압변동률이 작으나 설치비 고가

  (6) 저압 뱅킹(banking) 방식

   ㅇ 특 징
     - 1회선의 동일선로에 여러대의 변압기를 접속
     - 변압기 2차측을 상호 접속하여 변압기 병렬운전
     - 2차측 모선을 통해 부하 전력공급
     - 공급신뢰도 높은 편임
     - 전압강하, 전력손실 작음
     - 신규 부하증설 용이
     - 캐스케이딩(cascading) 현상(고장 보호협조 불량시 건전변압기 과부하 등에 의한 광범위 정전초래) 발생 가능

 

 

제2장 전력 케이블

 1. 전력케이블의 종류
  전력케이블은 절연체 재료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대별된다.
 
 ☞  케이블 구성 형태 :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케이블 외장재료와 구성이 달라짐

 

2. 전력케이블의 특성

가. 전기력선(line of electric force)
   ㅇ 쿨롱의  법칙 (Coulomb`s Law)
                Q1  Q2                              
      F  =  ---------
                4πεγ2        
   ㅇ 전계의 세기(electric field intensity)
                F               Q1
      E  =  -----  =  ----------
               Q2           4πε γ2   
   ㅇ 전기력선의  특성
     - 양전하에서 나와 음전하로 들어가는 연속곡선이다.
     - 도체면에 수직이다.
     - 등전위선과 항상 직교한다.
     - 전기력선의 접선은 그 점에서 전계의 방향을 나타낸다.
     - 전기력선의 밀도는 전계의 세기에 비례한다.


             
<그림 2-1>   전기력선 분포모습

 

3. 배전용 CNCV 케이블
  CV 케이블은 폴리에틸렌을 가교하고, 분자를 입체망 구조로 해서 폴리에틸렌의 결점인 열연화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차폐층이 동테이프로 된 CV-CU케이블(통상 CV 케이블로 불린다)과 동선으로 된 CNCV
케이블로 구분된다.


 
가. 구  조

 나.  구성요소별  특성
   ㅇ 도  체
     - 종류 : 구리(Cu), 알루미늄(Al)
     - 규격 :  상시, 단시간, 단락시  허용전류 고려 결정
     - 수밀도체 :  수밀 콤파운드(carbon black 포함) 사용
     - 구  조 ┬ 단 선 : 원 형
                 │           부채꼴형
                 └ 연 선 : 원 형
                                압 축(성 형, 분 할(보통 1,000㎣ 이상), 성형)
                                성 형
   ㅇ 내부 반도전층
     - 도체면의 전하분포를 고르게 하여 절연체의 절연내력 향상 : 주로 6.6㎸ 이상 적용
     - 도체와 절연체간의 간극형성 방지  :  코로나방전 방지,이온화(오존 O3 발생) 방지
     - 케이블제조시 절연물의 도체내 침투 방지
     - 절연체 및 외부반도전층과 동시 성형압출
   ㅇ 절 연 체
     - 구비조건 : 파괴전압 높고, 절연성능 장기간 안정, 유전손실 적고, 내트링(treeing), 내코로나, 내열성, 내오존성
     -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체(반복임펄스특성 열등) 사용
     - 연속사용온도 : 90  (단시간 : 105 , 단락시 온도 :  230 )
   ☞ 가교폴리에틸렌 케이블(CV : cross-linked polyethylene insulated polyvinyl chloride sheathed cable, 600V 이상)
     - 특성
     · 유전손실, 절연저항 등 전기적 특성 양호
     · OF나 EP 고무 등에 비해 내코로나, 반복임펄스 특성 열등
     · EV에 비해 내열성, 온도특성, 기계적 성능(내균열성, 내마모성, 인장강도등) 및 내유(耐油), 내약품성 등 화학적 특성 개선
     · 분자구조의 입체망상화 (立體網狀化)


                  
< EV와 CV의 분자 구조 비교 >

 

   ㅇ 외부 반도전층
     - 전기력선 분포 개선 : 절연체의 절연내력 향상(3.3㎸에서 적용하는 경우 있음)
   ㅇ 차 폐 층
     - 정전 차폐
     - 절연체의 내전압치 향상(3.3㎸ 이상 적용)
     - 중성선 역할 겸비(22.9㎸ 다중접지 방식) : 고장전류 귀로
     - 고장시 단락용량 고려 size 결정
     - 선로측정시 이용
   ☞  전압별 반도전층 및 차폐층 사용범위
   

구     분

내부반도전층

외부반도전층

차  폐  층

600 V

×

×

×

3.3 ㎸

×

6.6㎸ 이상


   ㅇ 중성선 수밀층
     - 발포성 차수테이프 (부풀음테이프)
     - 수분과 접촉시 수분흡수하여 부풀음
     - 중성선 안쪽은 반도전성
   ㅇ 외 피
     - PVC 사용 : 난연성 우수 (내한성 약함)
     - 내후성, 내화학약품성, 기계적 강도 고려
   * PE  :  내한성, 내수성 우수 (가연성)
             

4. 배전케이블 접속

가. 케이블 접속의 필요성
   ㅇ 케이블 운반 및 포설 용이
   ㅇ 케이블 고장 복구
   ㅇ 케이블 단말의 전계완화
   ㅇ 케이블 단말 방수
    
        
<그림 2-2>   케이블의 전기력선 분포

 

 나. 전기적 스트레스(electrical stress) 완화방법

종  류

Stress relief corn

Tape, Tube

   원  리

   절연층 보강

   유전체 경계조건

   형  태

   Mold 형

   반도전성 테이프,
   열수축형 튜브

   방  법

   내부 반도전층과
   중첩시키고 접지

   내부 반도전층과 중첩



    
       <그림 2-3>   스트레스 콘 사용효과


 다. 접속방식별 접속재 종류

접속 방식

접속재 종류

제  작  사

비    고

 직 선 접 속

  테이프레진형

 3 M

 거의 사용안함

  열 수축형

 Raychem

 사용 안함

  조 립 형

 평일산업

 주로 사용

 분 기 접 속

  조 립 형

 Elastimold, RTE

 사용 안함

 종 단 접 속

  자기 수축형

 3 M

 거의 사용안함

  열 수축형

 Raychem

 사용 안함

  조 립 형

 평일산업

 주로 사용

 엘 보 접 속

  조 립 형

 Elastimold, RTE

 Elastimold 사용


 

제3장 지중선 공사

1. 전력 케이블 시공기준

가. 종류 및 규격
  (1) 특고압
   ㅇ 종 류
    - 일반형 : 22.9㎸ CN/CV 케이블
              (동심중성선 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수밀형 : 22.9㎸ CN/CV-W 케이블
              (수밀형 동심중성선 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난연성 : 22.9㎸ FR- CN/CV 케이블
              (동심중성선 가교폴리에틸렌절연 비닐시스 난연케이블)
   ㅇ 도체 규격 :   60, 200, 325, 600㎣  
  
  (2) 저 압
   ㅇ 종 류 : 600v CV 케이블
   ㅇ 규 격 : 22, 38, 60, 100, 200, 325 ㎟

 

 나. 적 용
  (1) 특고압 및 고압 지중전선로
   ㅇ 케이블 종류
    - 22.9㎸ CN/CV 케이블 : 일반적 적용
    - 22.9㎸ CN/CV-W 케이블 : 중요지역 또는 중요수용 공급선로의 케이블입상 종단부(케이블헤드)에서 첫번째 맨홀 또는 첫번째 기기의 접속점
    - 22.9㎸ FR-CN/CV 케이블 : 다회선 케이블이 시설되어 화재로 인해 큰 피해가 예상되는 개소 (세부기준 추후 제정)
   ㅇ 케이블 선정 : 부하증가 및 계통운영 (허용전류, 전압강하 등)고려

구   분

변압기선로

분기선로

간선선로

대용량선로

도체 굵기

60㎟

60, 200㎟

(200), 325㎟

600㎟

 (주) 간선선로로서 케이블 회선수가 2회선 이하인 경우는 ( ) 적용


  (2) 저압선 (인입선)
    저압 지중계통 구성방식, 부하전류 및 전압강하를 고려 선정

 

 나. 케이블 매설 깊이
    케이블보호재 최상단 상부에서 지표면까지의 높이
  ㅇ 차도 및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1.2m 이상
  ㅇ 기타의 장소 (보도 등) : 0.6m 이상
  ㅇ 부득이한 경우는 특별한 보강대책을 강구하여 매설깊이 감소


                
<그림 3-1  케이블 매설 깊이>
 

 다. 케이블 설계 여유장
  (1) 표준 여유장
    ㅇ 긍장의 1% 이하
    ㅇ 직선(분기)접속 및 옵셋트 여유장
     - 직형 핸드홀 및 맨홀, 전력구 (공동구, 덕트) : 2m
     - 곡형 핸드홀 및 맨홀 : 3m
      (주) 접속 및 옵셋트 여유장은 케이블 양단의 여유장을 합한 값임.
    ㅇ 종단 접속 : 1.5m
    ㅇ 기기 접속 : 1.5m

  (2) 현장 여건상 표준설계 여유장으로 시공이 곤란한 경우에는 별도로 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라. 케이블 허용 곡률반경
    케이블 표준 외경의 10배 이상으로 한다.
 
 마. 케이블 허용장력
   ㅇ 풀링아이(pulling eye) 사용시  :  7 ㎏/㎟  (Al : 4㎏/㎟)   
     - 케이블 조수별 장력계산 범위  :  3조는 2조, 4조이상은 60%


                  <그림 3-2  풀링아이>

 

   ㅇ 풀링그립(pulling grip) 사용할 때  :  500 ㎏/m (PVC 외피 경우)

                     
 <그림3-3 풀링그립>

   ㅇ 케이블 측압
     - PVC 외피  :   250 ㎏/m
     - 클로로프렌  외피  :  300 ∼ 500 ㎏/m

 

 바. 케이블 이격거리(전기설비기술기준 제 156, 157조)

   ㅇ 지중약전류 전선

접근,  교차  상태

조   치   사   항

 - 저압, 고압지중선 : 30㎝
 - 특고압 지중선 : 60㎝ 이하

 - 상호간 견고한 내화성 격벽시설
 - 지중전선을 불연성, 난연성 관에 넣고 관이 약전류전선과 접촉않도록 시설

   - 전력보안 통신선의 경우는 지중전선과 접촉시설되지 않으면 됨


   ㅇ 가연성, 유독성  관

접 근,  교 차  상 태

조   치   사   항

- 특별고압 지중전선 : 1m 이하

- 상호간 견고한 내화성 격벽시설
- 지중전선을 불연성,난연성 관에 넣고 관이 가연성,유독성 관과 접촉 않도록  시설


   ㅇ 가연성, 유독성관이외의 관

접근,   교차   상태

조  치   사   항

- 특별고압지중선  :  30㎝ 이하

- 상호간 견고한 내화성 격벽시설
- 지중전선을 불연성, 난연성 관에 시설

- 해당 관이 불연성, 난연성으로 피복시 무관


   ㅇ 지중전선 상호간(지중함 제외)

접근,   교차   상태

조   치   사   항

- 저압선과 고압지중전선 : 30㎝
- 저압, 고압지중전선과 특별 고압 지중전선  :  30㎝ 이하

- 각 지중선을 난연성 피복
- 각 지중선을 견고한 난연성 관에 시설
- 어느 한쪽을 불연성 피복
- 어느 한쪽을 견고한 불연성 관에 시설
- 상호간에 견고한 내화성 격벽 시설


   ㅇ 직류식 전기철도(전기설비 기술기준 제 286조 : 전식방지)

접근,   교차    상태

조   치   사  항

- 직류귀선의 비절연부분과 금속재 지중관로  :  1m 이내

- 레일(rail)과 지중관사이에 절연성 격리물을 시설하여 누설전류 통로가 1m 이상이면 이격거리 1m 이상 안되어도 무관  


2. 전력케이블공사

가. 작업전 준비사항
   ㅇ 작업장 안전관리
     - 공사안내판, 안전시설물(안전칸막이, 라바콘 등), 교통표지판
     - 작업장 청결(잔토, 잔자재 정리)
     - 배수 조치
   * 안전칸막이 설치기준(서울시 기준)
     . 바탕색   :   노란색
     . 글씨, 빗금  :  청색
     . 배치순서 : 안전제일, 공사명, 시행청, 도급업체, (공사기간), 반복
   ㅇ 작업자 안전장구
   ㅇ 작업장비 및 자재준비
   ㅇ 주민 홍보 등
 
            
 <그림3-4   교통표지판 설치레>

 

 나. 직매 케이블공사
  (1) 케이블 보호재
   ㅇ 트러프 (Trough) :  A1, A2, A3, (A4)          

  고   압   용

  A1 (1회선 ),  A2 (2회선),  (A4 : 송전용)

  저   압   용

  A3


  (2) 시공 기준
   ㅇ 트러프  :  연결부분 잘 맞추고, 트러프내 열방산위해 청정한 모래를 충진후 뚜껑 덮음
   ㅇ 케이블 표지시트
     - 50㎝ 간격으로 25㎝ 마다 반복겹쳐 설치
     - 보 도  :  지표면 아래 20 ∼ 30 ㎝
     - 차 도  :  포장층 아래 10 ∼ 20 ㎝
     - 설치기준(지중구조물과 시트간격 : 30 ㎝ 이상)

   (케이블표지시트)                                    (케이블표지시트)  

  5 ㎝       10 ㎝                 최대 20 ㎝                10 ㎝     5 ㎝

              지          중            구            조            물     

                    
ㅇ 지중선로 표지기 설치  
      - 규 격  :  Φ100(t=7㎜) × L140(d=15㎜)
      - 장 소  :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보도블럭으로 포장된 차도 및 보도 표지면
      - 기 준  :  시작점, 굴곡점, 종점, 직선구간 10m 간격, 접속점
      - 종 류  :  직선방향, 양방향(직각개소), 3 방향(T 분기), 4 방향
                     접속점(케이블 접속점 매몰개소)

 
               
<그림 3-5>    지중선로 표시기
                                                                   
   ㅇ 지중선로 표지주(신설) 설치  
      - 규 격  :  150 × 150 × 700㎜
      - 장 소  :  비포장도로(사리도), 잔디밭 등의 지표면
      - 기 준  :  지방지역 50m, 도시지역 20m, 곡선부위 5 ~ 10 m간격을 원칙으로하고 주변지형 여건 등에 따라 적절 조정
     ☞참 조 : 판단배(지)853.01-1164(97.10.1) 규격 제정


         
<그림 3-6>    지중선로 표지주

 

  (3) 케이블부설 작업순서 (인력작업)

        
선 로 경 과 지 굴 착         층절단, 굴착깊이, 굴착토처리
                     ↓
         
케 이 블 드 럼 설 치          3 드럼  동시작업  
                     ↓
         
트  러  프  배  열              연결부분 빈틈없도록  
                     ↓
         
트러프 바닥 모래 포설      바닥 5㎝ 정도             
                     ↓
         
케  이  블  포  설              지표면에 끌리지 않도록, 3각 배열
                     ↓
        
 트 러 프 내 모 래 채 움     청정모래로 완전 충진
                     ↓               
         
트 러 프  뚜껑  닫 음        뚜껑연결부분 빈틈없도록
                     ↓              
         
모  래  되  메  우  기         30㎝ 층단위로 물다짐
                     ↓              
         
케이블 표지시트 부설        지표면 포장층 아래
                     ↓              
         
모  래  되  메  우  기          철저
                     ↓               
         
포    장     복     구             임시 또는 완전 복구
                     ↓                                            
         
작  업  장  정  리                잔자재 및 잔토처리 철저

 

      

 라. 관로 케이블공사
  (1) 케이블 포설
    ㅇ 지정관로 사용(관로사용 우선순위 적용 : 전압별, 위치별)
    ㅇ 관로 청소, 도통시험 및 포설장력 범위 준수

 

  (2)맨홀내 부속자재

구  분

종  류

규                격

비   고

 지지대

앵글형

 1,500㎜ (전력구 1,800)

벽체고정

강관형

 1,800 ∼ 2,000㎜

곡률반경유지

 행  거

 구 분

 260, 300, 370, 460, 590㎜

(CN/CV 3조)
1회선:260㎜
2회선:370㎜
3회선:590㎜

 가변형

 경사지게 시설된 케이블 지지개소

 ㄱ형

 고정형 케이블받침대 적용개소

I 형

 받침용 케이블받침대 적용개소

 케이블
 받침대
(클리트)

 받침용

 CL-1   :   CN/CV 60㎟

 고정형
 이외 개소

 CL-2   :   CN/CV 200㎟

 CL-3   :   CN/CV 325㎟

 CL-4   :   CN/CV 600㎟

 고정형

 CL-A  :    CN/CV 60㎟

 -경사,곡선
 -직선:4경간마다

 CL-B  :    CN/CV 200㎟

 CL-C  :    CN/CV 325㎟

 CL-D  :    CN/CV 600㎟

접지연결
 동봉

 Φ24 × 510(소형 : 벽체두께 40㎝ 이하)

압축 연결식
150㎟ 이하

 Φ24 × 730(대형 : 벽체두께 60㎝ 이하)

  

  (3) 케이블 배열
    ㅇ 옵셋(off-set) 고려, 맨홀 양벽측으로 3각 배열
    ㅇ 케이블표시찰 취부 :  상·선로명, 접속자 명찰 등

 

  (4) 케이블포설 작업순서

        
케이블드럼 및 윈치 설치    인입장력계  포함
                     ↓              
        
연 선 용  철 선  인 입        관로내 피복철선 이용
                     ↓               
        
관  로  도  통  시  험         관로도통시험봉 사용
                     ↓
        
인 입 용   철 선  인 입       시험봉에 연결된 피복철선 이용
                     ↓                  
        
케   이   블   인   출          3 드럼 동시 작업
                     ↓                
        
풀  링  아  이  연  결         풀링아이 없을 경우 풀링그립 사용
                     ↓      
        
맨 홀 내  활 차  설 치        지정 인입관로에 곡률유지   
                     ↓                    
        
케   이   블   포   설          포설속도 일정 유지, 장력 확인    
                     ↓                     
       
삽 입 형 관 로 구 설 치       맨홀내 유입방지    
                     ↓                     
        
맨 홀 내 금 구 류 설 치      설치기준 준수    
                     ↓                     
       
맨 홀 내 케 이 블 정 리       케이블절단시 여유장,단말방수   
                     ↓                     
       
작   업   장   정   리                                

 

 라. 전력구 케이블공사
   ㅇ케이블포설 작업순서(기계 부설)
         
        
케이블드럼 및 윈치설치     인입장력계 포함
                   ↓
        
전 력 구 로 라 설 치          로라 간격 2 ∼3 m
                   ↓
        
연 선 용  철 선 인입     
                   ↓
         
케  이  블  인 출              3드럼 동시 작업
                   ↓
        
풀 링  아 이  연 결            풀링아이 없을 경우 풀링그립 사용
                   ↓               
        
인 입 구  활 차  설 치        케이블 곡률유지
                   ↓              
        
케  이  블    포  설            포설속도 일정 유지, 장력 확인
                   ↓                                               
        
삽 입 형 관 로 구 설 치     분기 관로구
                   ↓              
        
전 력 구 금 구 류 설 치     설치기준 준수
                   ↓               
        
전 력 구 케 이 블 정 리     케이블 절단시 여유장, 단말방수
                   ↓                                            
        
작  업  장  정  리      
      

  마. 케이블 입상
  (1) 고압 케이블
   ㅇ 전주 1본  :  1회선 입상 원칙
   ㅇ 변압기주, 복잡장주 입상 지양
   ㅇ 케이블입상 인접주에 개폐기 취부
   ㅇ 케이블 헤드 지지금구   :   상부용, 하부용
   ㅇ 입상용 케이블 보호관 사용
     - 전주용 입상관  :  Φ130 × 2.0 × 2m
     - 조립식 반할관  :  Φ130 × 3.2 × 333 × 3개
     - 케이블 지지용 강벨트 :  2B-1200(입상관 1개, 강벨트 2개 사용)
   ㅇ 케이블헤드  연결선
     - 종 류  :  수밀형 가교폴리에틸렌절연 동전선(OC-W 전선)
     - 규 격  :  케이블 60㎟  →  OC-W 전선 60㎟
                 케이블 200, 325㎟  →  OC-W 전선 100㎟
     - 입상부 절연  :  분기슬리브 카바 (가공선 접속부 : 분기슬리브)
                       케이블헤드 카바 (케이블헤드 접속부)
   
 (2) 저압 케이블(600V CV 케이블)
   ㅇ 변압기 저압측 단자연결 : 동관단자에 케이블 압축시공 볼트조임
 
   ㅇ 저압 케이블 접속재

구   분

접  속  재

비      고

 600V CV 케이블

 종단접속재(22∼325㎟)

 1수용 입상, 기존 저압   C/H 使用可能

 600V CV 케이블
  접속 장치

 종단장치(2.6㎜∼325㎟)

 2수용(2회선 종단부)

 분기장치(22∼325㎟)

 3수용내 연접또는 분기

 회선장치(22∼325㎟)


   ㅇ 저압 케이블 입상 : 1회선 원칙 (입상부 1.8 ∼ 2.0m 입상관설치)

 
                    
<그림 3-7  입상주>
 
 
3. 접지 공사

가. 지중선의 피복 금속체의 접지(전기설비 기술기준 제17조)
   ㅇ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 금속제의 전선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으로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제 3 종 접지공사
   ㅇ 맨홀내 접지
               
 
나. 지중용 기기접지
   ㅇ 외함 접지  :  제1종 접지공사
   ㅇ 중성선 접지 : 지상설치형 단상변압기
                
 
다. 케이블헤드 접지
   ㅇ 접지동봉  :  2본을 표준으로 지하 75㎝ 이상에서 타설
   ㅇ 접지공용  :  동일개소 2종류 이상 접지시 낮은측 접지로 겸용
   ㅇ 입상케이블 및 완금접지  :  가공선로 접지와 공용
   ㅇ 피뢰기 접지  :  단독 접지
   ㅇ 접지용 전선  :  600V 38㎟ 비닐절연전선
   ㅇ 케이블중성선 연결선  :  케이블 굵기에 따라 22, 60, 100㎟

 

4. 구조물 공사

가. 굴착 및 콘크리트 공사
   ㅇ 굴착 구배
     - 토사류, 암반 ;  1 : (0.1 ∼0.5)  
     - 깊이 1m 미만  :  수직 굴착
   ㅇ 굴착 여유폭
     - 굴착 구배  및 흙막이 사용시 (깊이 2m 미만 경우)
       . 직매, 관로  :  30 ㎝
       . 핸 드 홀    :  40 ㎝
     - 맨홀 공사   :   1 m
   ㅇ 되메우기 다짐  :   두께 30 ㎝ 기준
   ㅇ 콘크리트 및 레미콘
     - 인력 비비기  :   용적 배합(시멘트 + 모래 + 자갈 + 물)
     - 레미콘 규격
       . 설계기준강도(㎏/㎠) - 굵은골재 최대치수(㎜) - 슬럼프(㎝)
       . 지상기기 기초대, 핸드홀  :   210 -  25 -  8
      - 타설 높이  :  1.5 m 이내
      - 다 지 기   :  진동기(vibrator) 사용 원칙
      - 양생기간   :  28일(조강 3일, 일반 7일간 습윤상태 유지)

 

 나. 관로 공사
  (1) 사용 관재
   ㅇ 합성수지 파형관(PE)
      - 규 격 : Φ100×60, 125×50, 150×40, 175×30, 200×30m
      - 관접속 :  이음관, 실링 + 발코 + 비닐테이프 사용
   ㅇ 합성수지 직관(PVC)
      - 규 격  : Φ100·175·200 × 6m
      - 관접속  :  고무링, 이음관 사용
      - 시 공   : 스페이서(spacer) 사용(바닥용 A형과 중간받침용 B형)
   ㅇ 지중케이블 강관(아스팔트 또는 콜탈에나멜 피복)
      - 규 격   :  Φ100·125·150·175·200·250·300 × 6m
      - 관접속  :  강관접속용 슬리브(도복장용 아스팔트 포함)
   ㅇ 흄 관(콘크리트제)  :  사용빈도 거의 없음
      - 규 격   :  Φ200 × 1m, Φ200 × 2.5m
      - 관접속  :  접속개소 콘크리트 타설


  (2) 관내경 선정
   ㅇ 1 공 1 조  :  1.3 d ≤ D,  d + 30 ㎜ ≤ D
   ㅇ 1 공 3 조  :  2.16d + 30 ㎜ ≤ D ≤ 2.85 d,  3.15d ≤ D
    * 관경 표준화
     - 케이블 규격(60, 200, 325, 600㎟)에 따라 관경이 100, 125, 150, 175, 200㎜ 등으로 다양하게 되나, 자재의 적정 재고유지, 공사의 원활화를 위해 관경을 통신용 100㎜, 전력케이블용 175㎜로 표준화하고 있다. 그러나 부하증설 전망이 없는 신규수용은 케이블 규격에 맞는 125, 150㎜ 관을 선택 사용
     

구     분

케이블  규격

적 정  관 경

비     고

저     압

22, 38  ㎟
60
100
200
325

50㎜
75
100
100
125

1공 3∼4 조   기준

고      압

60
200
325
600

   150(175)¹
175
175
175(200)²


1공 3조 기준

    ()¹: 향후 부하증가가 커서 상위규격 케이블로의 교체 예상 경우
    ()²: 관로의 굴곡이나 고저차가 심한 경우

      
               
<그림 3-8>    합성수지파형관 이음요령

 

 
               
<그림 3-9>    합성수지 직관 이음요령
 
  (3) 시공 기준

표 준 경 간

 - 250 m

곡 률 반 경

 - 파형관 : 관외경 10배 이상
 - 직  관 : 관이경 20배 이상
 - 흄  관 : 관접속 변위각 7 °

관  배  열

 - 장방형, 정방형
 - 장애물 통과후 정상배열 형태유지
 - 관상호 간격 : 10 ㎝
 - 합성수지 직관 : 스페이서 사용

평탄지관로구배

 - 1/5,000 이상

모 래 채 움

 - 굴착면 위 : 5 ㎝
 - 관 상호간
 - 최상부 관 상단 위 : 10 ㎝

관 이 음 공 법

 - 파형관 : 이음관, 실링 + 발코 + 비닐테이프
 - 직  관 : 고무링 이음관
 - 지중케이블강관 :슬리브 용접
 - 흄  관 : 소켓형으로 동체콘크리트 타설
 - 이종관 접속 : 어답터(합성수지파형관 + 직관)
 - 철선 내장 : 관내장 피복철선 연결 또는 삽입

맨 홀 접 속

 - 파형관 : 어답터 (합성수지파형관) 사용
 - 직관, 흄관 : 소켓부 직접 연결
 - 관접속부 : 콘크리트(180-40-8) 타설

관로도통시험

 - 관로시공 매설전, 시공 완료후
 - 도통시험봉 : 길이 - 400mm
                       외경 - 관내경보다 10mm 작음

         
       
                
<그림 3-10>    맨홀접속부 단면도

           
                
<그림 3-11>    관로도통 시험 및 청소

 

 다. 맨홀 공사
  (1) 표준 맨홀
   ㅇ 종 류 :  A, B, C, D, E
   ㅇ 공 수 :  4 ∼ 6 공 표준
                
        
                    
<그림 3-12>    맨홀 종류

   o 종류별 적용
    - A 형 : 직선구간에 적용
    - B 형 : 90。 굴곡구간에 적용
    - C 형 : 굴곡구간에 적용
    - D 형 : 1방향 분기지점에 적용
      · 1D : 분기선로가 장긍장인 경우
      · 2D : 분기선로가 단긍장인 경우
    - E 형
      · 1E : T형 분기지점에 적용
      · 2E : 4방 분기지점에 적용

 

  (2) 설치 구분
   ㅇ 조립식 : 원칙 사용 (A형)
   ㅇ 현장 타설식

 

  (3) 맨홀시공 부속자재

  맨  홀  뚜  껑

- 직경 : 750/900㎜, 설치높이 : GL + 0∼10㎜

  발  판  볼  트

- Φ16㎜ 이상,  하중 170㎏,  간격 :  400㎜

  사   다    리

- 바닥과 80。 이내

  후  크 (hook)

- Φ32㎜, 인장하중 : 28ton 기준(7t 이하 사용)

  합성수지관로구

- Φ100·125·150·175·200㎜ × 600㎜

  접지연결 동봉

- Φ24 × 510/730㎜ (벽체두께 40/60㎝)

  지지대앵카볼트

- Φ19 × 150㎜, 간격 : 30㎝

  물   받   이

- Φ180 × (120 + 90) × 10㎜(내경×길이×두께)


  (4) 맨홀 방수
   ㅇ 외벽 방수  :  고무아스팔트 에멀젼  방수
     - 주재료 : 고무아스팔트 에멀젼(고무상의 탄성 도막방수층 형성)
      . 수용성 합성고무(SBR latex) +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부재료 :  도막시멘트페이스트, 멤브레인클로스, 급결재
      . 도막 시멘트 페이스트 <방수재 졸(sol) #20과 시멘트 혼합> : 균열 부분 충진 및 방수 보강
      . 멤브레인 클로스(membrane cloth : 합성수지계 섬유) : 방수층 균열 방지
     - 방수층 보호
     . 방수층 보호재(벽체 및 상부슬라브) : 폴리에틸렌 폼(t = 20㎜) . 방수층 보호몰탈(바닥 및 기초벽체) : 시멘트 + 모래(t = 30㎜)

     
              
<그림 3-13>   고무아스팔트 에멀젼 방수

 

 ㅇ 내벽 방수  :  수용성 에폭시 방수
   - 수용성 에폭시  :  주제  +  경화제 혼합 사용
   - 신설 구조물의 불가피한 경우 내벽방수 적용
   - 기존 구조물의 방수보수공사시 내벽방수 적용
      . 급결재(급결재 + 시멘트)  :  방수작업전 누수장소 사용
      . 쇠흙손 바르기용(에폭시 + 시멘트) : 2차 방수(미세한 누수현상)
      . 수지몰탈방수(에폭시+시멘트+모래) : 2차 방수(심한 누수개소)

        
         
<그림 3-14>   수용성 에폭시몰탈 방수

 
라. 전 력 구
  (1) 규 모

크 기 (폭 × 높이)

회    선    수

비       고

    1.5  ×  2.1 m
    1.7  ×  2.1 m
    1.8  ×  2.1 m
    2.0  ×  2.1 m
    2.2  ×  2.1 m

    12 회선 이하
    18 회선 이하
    26 회선 이하
    33 회선 이하
    39 회선 이하

  편측  2 회선 시설
  편측  3 회선 시설
  양측  2 회선 시설
  양측 2·3 회선 시설
  양측  3 회선 시설


  (2) 부속 설비
   ㅇ 출입구, 환기구, 분기구, 집수정
   ㅇ 전원 설비  :  조명, 환기, 배수

  (3) 전력구 방수
   ㅇ 시트(sheet) 방수 : 2.4㎜ × 100㎝ × 10m (두께 × 폭 × 길이)
   ㅇ 고무 아스팔트계 접착용 프라이머(0.25ℓ/㎡)

  (4) 케이블 설비 : 판단배(지)853.01-6..3(95.6.12)의 "전력구 운영지침"
   ㅇ 케이블 위치 : 전압등급별로 최상위 전압 최하단
   ㅇ 케이블 접속 금지 : 케이블 처리실내, 전력구 시점 150m내, 분기구  전후 25m내, 동일장소에 2개소 이상
  
                    
<그림 3-15>   접속재 위치

 

   ㅇ 케이블 지지대  :  1,800㎜(1.5m 간격)
   ㅇ 케이블 지지(고정형 클리트) : 송전 2경간, 배전 4경간

 마. 조립식 구조물
  (1) 종류와 규격

구      분

기   호

규 격(폭×높이×길이,㎜)

     핸  드  홀(직선방향)

 H S - 2

  1,800 × 2,100 × 2,300

     핸  드  홀(4방향)

 H S - 2W

  1,800 × 2,100 × 2,300

     핸  드  홀(통신용)

 H S - CA

  1,300 × 1,500 × 1,800

맨   홀

4  회 선

 M S - 4

  2,100 × 2,380 × 3,500

6  회 선

 M S - 6

  2,100 × 2,380 × 4,000

변 압 기

 단 (∼100㎸A)
 상 (∼200㎸A)

 T  - 1B
 T  - 1H

  1,100 × 1,120 × 1,100
  1,500 × 1,120 × 1,100

 3  (∼200㎸A)
 상 (∼300㎸A)

 T  - 3L
 T  - 3U

  1,100 × 1,120 × 1,600
  1,350 × 1,120 × 1,600

개 폐 기

 데   드   형

 D  -  0

  1,100 × 1,120 × 1,700

 스   틱   형

 S  -  0

  1,300 × 1,120 × 1,700


  (2) 기초 시공

구     분

연 약 지 반

견고토사지역

암 반 지 역

기 초  잡  석

15(10)㎝

15(10)㎝

×

기초 콘크리트

10㎝

×

 ×

수 평  조  정

마른몰탈 2㎝

모래 5㎝

모래 10㎝


        
                    
 <그림 3-16>   기 초  시 공

 

  (3) 조립식 맨홀뚜껑 및 관로구 설치
   ㅇ 맨홀 뚜껑
     - 맨홀 상부에 2㎝의 몰탈을 바른후 조정용 부재(맨홀 목부분)를 고정볼트 구멍에 맞게 설치하고,
     - 그 위에 몰탈 2㎝를 도포하고 맨홀뚜껑 올려 너트로 볼트조임 후
     - 맨홀뚜껑 프렌지 부분부터 맨홀 상부까지 경사지게 몰탈처리한다
      
       
              
<그림 3-17>    조립식 맨홀뚜껑 설치

 

   ㅇ 관로구 방수장치
     - 맨홀의 관로홈을 파쇄한 후 관로구 방수장치를 설치하고
     - 벽체와 관로구의 공간을 몰탈로 충진한다.
     
       
               
<그림 3-18>  조립식 맨홀 관로구 설치

  (4) 지상기기 기초대
   ㅇ 기초대는 지표면에서 15㎝ 노출
   ㅇ 기기는 기초대 외측 5㎝의 여유두고 설치
   ㅇ 기기설치후 세트앵카 고정

 

 

제4장 지중배전용 기기

1. 지상설치형 변압기

가. 설치장소 및 고려사항
  ㅇ 지중배전용 기기는 지상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하되 건축법 등 관련 법규에 의해 제공된 장소가 있을 경우 그 장소에 설치한다.
  ㅇ 전기공급규정에 의한 공급설비의 공간확보
    - 지중공급 연면적 500㎡ 이상 건축물
    - 지중공급 공압이상 수용
    - 아파트 등 공동주택 수용
  ㅇ 녹지대, 지하도 뒷벽, 육교 아래
  ㅇ 관련 기관과 협의된 보도
    - 가각, 소화전, 횡단보도에서 5m이상 떨어진 곳
    - 버스정류장 등 상시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곳은 가급적 피함.
  ㅇ 기설기기 옆에 기기 신설시 기설기기와 외형 조화
  ㅇ 동일장소 지상기기는 가급적 외형크기나 도장색 통일

 나. 특 징
   ㅇ 1차측 2부싱(bushing) : 1차측 전원 루프 (내부에 동대로 연결됨)
   ㅇ 2퓨즈 보호 : 한류퓨즈(限流, current limiting) + 이중소자퓨즈
       - 한류 퓨즈(限流, current limiting)  :   1 차측 보호
       - 이중소자 퓨즈(dual element fuse, Bay-O-net fuse) : 2차측 보호
   ㅇ 외부조작 무부하 탭(tab) 절환
   ㅇ 권선 및 절연유 온도상승 한도 : 각각 65℃        
   ㅇ 외함 도장
     -  녹지대 설치용  :  녹색 계통(Munsell  No. 7.5 GY 3.5/2)
     -  보차도 설치용  :  회색 계통(Munsell  No. 5 Y 7/1)
     - 주변과의 환경조화 등 현장여건상 필요한 경우는 예외
   ㅇ 절연 기준전압  :  BIL 125㎸
   ㅇ 자동압력 방출밸브  :  0.7 ± 0.14㎏/㎠ (10 ± 2PSI)

 

 다. 종   류

구    분

6.6 ㎸

22.9 ㎸

단      상

 30, 50, 75, 100, 150, 200

 30, 50, 75, 100, 150, 200

3 상(등동공용)

 100+30, 150+50, 200+7

-

3       상

 75, 100, 150, 200, 300

 75, 100, 150, 200, 300,500

1 차 탭 전 압

 57-, 60-, 63-, 66-, 69-

 11.4∼13.8, 19.9∼23.9

2 차  전   압

 1Φ:230/115, 3Φ:400/230

 1Φ : 230/115, 460/230
 3Φ : 400/230


 
라. 구  조
       
             
<그림 4-1> 지상설치형 변압기 내부구조

 마.  이중소자휴즈 용량

용  량
(kVA)

22.9kV-y

 단 상

삼 상

30

5

-

50

6

-

75

8

5

100

12

5

150

15

6

200

25

8

300

-

12


 바. 운  영
   ㅇ 변압기 선로  :  22.9 ㎸ CN/CV 60㎟ 케이블 사용
   ㅇ 개폐기 설치  :  간선과 변압기 선로의 분기점
   ㅇ 변압기 1선로당 변압기(3상 기준) 및 고압 수용가 수  : 5 ∼ 7
   ㅇ 단상변압기 2대로 V결선 사용시 소용량 저압 X2 단자 : 절연
   ㅇ 엘보접속재 접지선(2.0㎜ 연동선) 연결
   ㅇ 변압기 운반고리 하향 조정
   ㅇ 표시찰 취부 : 상, 선로명, 접속시공자
   ㅇ 접속시공자 명찰 : 스텐레스 재질로 중앙 케이블 중성선에 취부
   ㅇ 전압상태 조작금지 :  이중소자 퓨즈, 엘보접속재, 탭절환기
   ㅇ 지상설치형 변압기 부속재  
     - Feed thru : 변압기 선로 바이패스용
     - Grounding elbow : 변압기 부싱이용 선로 접지
     - Elbow arrester(M.O.V.E gapless arrester) : 변압기 부싱에 설치

 사. 변압기 출고시 별도청구 부속재

종      류

규     격

용        도

특고압엘보접속재

15.2/26.3kV

 변압기 붓싱 접속

특고압붓싱인써트

15.2/26.3kV

 붓싱웰에 접속

특고압절연캡

15.2/26.3kV

  엘보접속재를 시설하지 않은 경우의 붓싱 절연시에만 접속

특고압절연플러그

15.2/26.3kV

붓싱에 취부되지 않은 엘보접속재의 절연시에만 해당

방수절연테이프
(스카치 휠)

38mm ×0.5m
(엘보접속재 개당)

엘보접속재의 케이블측 절연처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엘보접속재 청구시 포함하여 조치토록함

비닐테이프
(스카치 #33)

19mm ×2m
(엘보접속재 개당)


 아. 퓨즈 교환

 ☞ 주의 : 이중소자 퓨즈나 변압기 엘보 조작시 安全을 위해 반드시 無電壓狀態에서 조작


   ㅇ 조작에 필요한 장비
     - Hot-stick : 길이 8″(203㎜) 이상
     - 안전 보호구 : 안전모, 절연 보호장갑 등
   ㅇ 조작 순서  
     - 자동방출 안전밸브를 당겨 변압기 내부압력과 외부압력 일치
     - 퓨즈홀더 고리를 제쳐 잠금상태 풀고, 90°회전시켜 밀봉 분리
     - 퓨즈홀더를 3″(75㎜) 정도 당겨 절연유 빠진후 완전히 뺌
     - 퓨즈홀더 표면닦고, 퓨즈통(fuse cartridge) 분리
     - 퓨즈통의 나사풀고 fuse link 교환

 

2. 지중선로용 개폐기

가. 종 류


 나. 적용기준
   지상설치형 개폐기는 스틱조작형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공간이 협소한 곳에 한하여 데드브레이크형을 사용할 수 있다.
    ㅇ 4회로 4스위치
     4회로 선로를 구성하거나 향후 부하증가로 인한 예비단자 사용이 예상되는 3회로선로에 적용하며 고객 인입개폐장치 등에 사용함.
    ㅇ 4회로 2스위치
     이중전원 공급고객의 인입개폐장치로 사용
    ㅇ 3회로 3스위치
     3회로 선로구성 또는 고객 인입개폐장치 등에 사용

 다. 특  징
   ㅇ 절연 매체  :  SF6 가스
   ㅇ 정  격   :   25.8 ㎸, 600 A
   ㅇ 개폐 수명  :  전기적 1,000회 (600A 전류시), 기계적 5,000회

 라. 설치 형태
   ㅇ 지중 설치형
     - 접속재  :  데드브레이크식 사용
     - 설치장소  :  맨 홀      
   ㅇ 지상 설치형
     - 접속재  :  스틱 조작식 사용(공간협소시 데드브레이크식 사용)
     - 설치장소  :  지상기기 기초대

 
마. 운  영
   ㅇ 간선 선로, 신규수용 인입개폐장치 : 4W - 4SW 사용 원칙
   ㅇ 양전원 공급수용 및 ALTS 수용가의 재산 한계점 : 4W - 2SW
   ㅇ 개폐기 조작  :  절연 스틱(hot -stick) 사용  
   ㅇ 가스 압력
     - 표준 압력  :   5PSI 이상(압력계 녹색 범위)
     - 조작 금지  :   2PSI 이하(압력계 붉은색 범위)
     - 가스재충진 :  제작업체에 연락, 전압 인가상태에서 충진 가능
   ㅇ 조작후 개폐상태표시기 위치 확인
   ㅇ 개폐조작 완료후 오조작 방지위해 시건장치
   ㅇ 접속케이블 지지금구에 완전히 고정
   ㅇ 접지선(2.0㎜ 연동선), 표시찰 취부
   ㅇ 개폐기 운반고리 하향조정
   ㅇ 단자번호별 선로명 표시
   ㅇ 미사용 부싱   :  절연 캡으로 절연

  데드브레이크식(deadbreak type)

   스틱조작식 (loadbreak type)

   BIL 125 ㎸

   BIL 150 ㎸

   BIL 125 ㎸

   BIL 150 ㎸

 절연캡(데드형)    (K600 DRTP)

 부싱익스텐더(750 BE) + 절연 플러그 (DP)

 부싱익스텐더(K 600 BE) + 접속재(K650LRTP)+절연캡(270DRG)

 부싱익스텐(750 BE) + 접속재(750LRTP) + 절연캡(370DEG)

    * 절연 캡(DRTP, DRG)  :  insulating receptacle
    * 접속재(LRTP)     :   load break reducing tap plug
    **   SF6  가스 특징
       - S(21.95%) + F(78.05%)의 불할성 기체
       - 높은 절연내력, 우수한 소호능력 등으로 절연 및 차단분야의 최상 매질 <아크발생시 전자부착하여 음이온으로 이온화 되기 쉬운 전기적 음성기체로 절연내력은 대기압에서 공기의 약 2.5 배이고 전리(電離)를 일으키지 않아 절연회복 특성 우수>  
       - 무독, 무색, 무취하여 다른 재료를 부식시키지 않고 누설시 인체에 무해
       - 탄소를 포함하지 않아 방전시 도전성 침전물을 발생치 않음
       - 열전도 특성(공기의 1.6배) 뛰어나 신속냉각 소호특성 우수
       - 가장 무거운 기체중의 하나(공기의 약 5배)
       - 불연성이고, 액화온도 낮아(7기압에서 -28℃) 한냉지에서도 액화 염려 없음
     ☞ 할로겐(Halogen)족 화합물의 공통현상
       - 강한 전자부착성으로 자유전자 흡수 → 절연 및 소호 성능유지

바. 접속재 연결
  (1) 데드 브레이크식(dead break type)
    
            
<그림 4-2>   데드브레이크식 접속재
  

번호

접 속 재  명 칭

규     격

125㎸ BIL

150㎸ BIL

  1

 엘보 콘넥타(elbow connector)

 K650BLR

  750BLR

  2

 절연 플러그(deadend plug)

 K600DP

  750DP

  3

 부싱익스텐더(bushing extender)

 K600BE

  750BE

  4

 접속 플러그(connection plug)

 K600CP

  750CP

  5

 도체 콘넥타
 (crimp connector)

   325㎟

 650LRC-650

 650LRC-650

   200㎟

 650LRC-400

 650LRC-400

    60㎟

 650LRC-20

 650LRC-20

  6

 케이블 아답터
 (cable adapter)

   325㎟

 650CA-KA

 750CA-KA

   200㎟

 650CA-JAB

 750CA-JAB

    60㎟

 650CA-HA

 750CA-HA

    ▶ 방수 및 절연테이프(grounding kit) : Bisop No. 125

  (2) 스틱조작식(stick operable type)
    
                     
<그림 4-3>   스틱조작식 접속재

번호

접 속 재  명 칭

규      격

125㎸ BIL

150㎸ BIL

1

 엘보 콘넥타(elbow connector)

 K650BLR

  750BLR

2

 접속 플러그

 (load break reducing tap plug)

K650LRTPA2

 750LRTPA2

3

 절연 캡(insulating receptacle)

 270DRG

  370DRG

4

 스틱형 접속단자

 (connector contact)

   325㎟

        3600 - 360

   200㎟

        3600 - 310

    60㎟

        3600 - 250

5

 케이블 아답터

 (cable adapter)

   325㎟

 650CA-KA

 750CA-KA

   200㎟

 650CA-JAB

 750CA-JAB

    60㎟

 650CA-HA

 750CA-HA

    ▶ 방수 및 절연테이프(grounding kit) : Bisop No. 125

    ▷ 스틱조작식 접속재(LRTP) 내부구조
     
                
<그림 4-4>  스틱조작식 접속재

 

3. 자동부하 전환개폐기(ALTS)

가. 기  능 (가공선로용과 동일)
   ㅇ 구 조  :  지중선로용 3W-2SW 개폐기에 자동 전압검출 및 전동 조작장치 추가
   ㅇ 전압 감지  :  공급전압 35%, 85%에서 전원상실, 전원회복 감지
   ㅇ 전류 감지  :  최소동작(phase, ground) 고장전류 선택스위치
   ㅇ 순간정전 절환방지  :  절환시간 정정(0.1∼10초)
   ㅇ 자동 재절환(retransfer operation), 재절환 방지 기능 : 재절환시간(0.5초∼10분) 정정  
   ㅇ 부하측 사고시 자동절환 억제 및 부하측 분리
   ㅇ 돌입전류 억제(억제시간 : 0∼500ms, 표준 300ms)


 나. 운  영
   ㅇ주전원복귀시 자동 재절환방지 운전
       
             
<그림 4-5>   자동 부하 전환개폐기 설치

 

4. 지중선로 고장차단기

가. 형  식
   ㅇ 데드 브레이크식(dead break type) 지상설치형  :  기본
   ㅇ 스틱 조작식(stick operable type)  :  선택적 공급가능

 나. 특  징
   ㅇ 3상 일괄 EPOXY 수지로 절연된 진공차단방식
   ㅇ 정  격   :   25.8 ㎸, 600 A, 정격차단전류 12kA
   ㅇ 동  작
    - 최소차단시간 : 3Cycle 이내 (0.05초)
    - 정격동작 전압 : 투입(수동 및 전동조작), 트립(수동 및 제어조작)
   ㅇ 구동방식은 수동 및 외부전원이용 (모타 축세 이용)
   ㅇ 후비보호장치(변전소 리레이)와 보호협조
   ㅇ 돌입전류 억제기능, 순시동작기능, 원방조작기능
   
 다. 설치 형태
   ㅇ 지상 설치형
     - 접속재  :  데드브레이크식 사용 (스틱 조작식 사용 가능)
     - 설치장소  :  지상기기 기초대

 

 라. 운  용
   ㅇ 목 적
    - 배전선로 고장시 고장구간 분리로 고장개소 조기 발견
    - 고장배전선로 시송전시 발생하는 고장전류에 의한 설비손상 예방
  ㅇ 설치 대상선로
    - 지중비율 100% 선로
    - 가공과 지중의 혼재선로중 지중비율이 높은 선로
  ㅇ 설치 위치
   선로부하전류의 70%이하 간선 또는 분기선로 분기점으로서
   - 중요수용가(대단위 아파트단지, 주요관공서, 병원 등) 공급지점 후단
   - 선로사고가 빈번하거나 예상되는 지점 전단
   - 광역정전을 예방할 수 있는 지점
   - 기타 선로운영상 필요한 지점

 

 

제5장 측 정

1. 측정 개요

가. 종 류
  ㅇ 절연 저항
    - 케이블의 기본적인 절연상태를 파악하고자 절연 저항계로 케이블의 절연 저항값을 측정한다.
  ㅇ 내전압 시험
    - 고압용 케이블의 절연내력을 파악하고자 내전압 시험기로 절연내력을 측정한다.
  ㅇ 누설 전류
    - 케이블의 절연 열화정도를 파악하고자 절연내력 시험기(내전압 시험기)로 누설전류를 측정한다.
  ㅇ 상 측정
    - 케이블 및 개폐기 접속 또는 단말처리시 케이블의 회선별이나 상(相)을 구분하기 위해 상측정기를 사용한다.
  ㅇ 위치 측정
    - 케이블의 매설위치나 고장점 위치를 찾기 위해 해당 측정기를 사용하여 위치를 찾는다.


 나. 선로 고장점 측정
   ㅇ 절연 저항 측정
     - 절연저항값의 크기(0, ∞Ω)로 건전선로와 고장선로를 구분한다.
   ㅇ 지락고장점 거리 측정
     - 케이블 선로의 1선 지락고장이 발생할 경우 머레이 루프(Murray loop) 테스터를 이용하여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판단한다.
   ㅇ 지락고장점 위치 측정
     - 케이블 고장탐지기의 정전방전(임펄스 방출) 음(音)의 크기로 고장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는다.
   ㅇ 단선고장점 위치 측정
     - 케이블에 단선고장이 발생할 경우 펄스 레이다(pulse rader)법을 이용하여 고장점의 위치를 찾는다.

 

 다. 측정용도별 구분
   ㅇ 케이블 절연성능 측정
     - 절연 저항계(Megohm meter)
     - 절연내력 시험기 (내전압 및 누설전류 측정)
   ㅇ 고장점 위치 측정
     - 머레이루프 테스트(Murray loop tester)
     - 케이블 고장탐지기(capacitor discharge fault locator)
     - 펄스 레이다(pulse rader)
     - 매설물 탐지기(cable and sheath fault locator)
   ㅇ 기  타
     - 23㎸급 검전기
     - 용량성 검전기(capacitive voltage indicator)
     - 상 측정기(phase tracer)
     - 가스 탐지기(combustible gas & oxygen monitor)
     - 접지저항 측정기(earth tester)
     - 적외선 온도측정기(infrared thermometer)

 

2. 고장측정 흐름도

 

 

3. 측정기 취급

가. 검전기
  (1) 23㎸급 검전기
   ㅇ 개 요
      고압 및 특고압의 나선 및 절연전선에서 선로의 충전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경보범위는 다음과 같다.

전 압 별

나   선

절 연 전 선

동 작 거 리

   고    압

   특 고 압

    1,000V 이상

    1,700V 이상

    1,700V 이상

    5,000V 이상

     10㎜ 이내

     50㎜ 이내


   ㅇ 구조 및 명칭
 
             ① 검지자     ② 절환장치      ③ 잠금장치
             ④ 절연봉     ⑤ 안전한계선   ⑥ 접지단자
             ⑦ 음향구     ⑧ 손잡이         ⑨ 고무갓  

 

  ㅇ 취급요령
    ① 스틱조작식 개폐기의 스틱형접속재(LRTP)에 절연봉(hot stick)을 이용하여 검전핀(370TR)을 삽입한 후,
    ② 23㎸ 검전기(CDV-5)의 선단 잠금장치를 풀고 절연봉 4단을 연장하여 1.25m가 되도록 조정하고서,
    ③ 전압절환장치의 절환표시선을 "시험"위치에서 음향(50 phon)을 확인하고 검전하고자 하는 전압에 따라 절환장치를 고압 또는 특고압에 고정하고,
    ④ 검지자를 검침핀(370TR)에 접촉하여 음향과 光의 발생여부로써 死活을 결정한다.
    ⑤ 우천시 또는 다습장소에서 사용할 때는 접지금구에 접지선을 연결하고 고압방전 고무장구를 착용하고 검전하여야 한다.

 

 (2) 용량성 검전기(capacitive voltage indicator)
   ㅇ 개 요
      3∼35㎸ 범위의 전압이 인가된 선로에서 엘보접속재의 검전점 (voltage test point)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死活을 판정하는데 사용한다.
   ㅇ 구조 및 명칭
  
             ① 손잡이                        ② 유리 섬유봉
             ③ 표시등(적색, 녹색)       ④ 적색자동버튼
             ⑤ 건전지                        ⑥ 시험전극

 

  ㅇ 취급 방법
    ① 적색, 녹색 표시등 사이에 적색 동작버튼(④번)을 누른다. 이때 녹색램프가 3∼5초 동안 켜져 있다가 꺼지면서 적색램프가 점멸되고 난 후 녹색램프가 1∼2분간 점등되는 동안에 검전을 해야 한다.
    ② 검전하려는 선로의 엘보접속재 검전점(voltage test pont)의 덮개를 벗기고 그 곳에 용량성 검전기의 시험전극(⑥번)을 갖다 댄다. 이때 녹색 표시등이 꺼지고 적색표시등이 켜지면 충전상태이며, 녹색표시등이 계속 켜져 있으면 방전상태인 바 1∼2분후 녹색표시등이 꺼진후 검전기의 동작여부를 확인하고 다시한번 반복하여 검전한다.   
 

♣ 주 의

 - 케이블헤드 등 충전부위에 직접 검전할 수 없으며, 녹색표시등이 꺼진 상태에서는 검전이 불가능 함.
 - 케이블헤드 등 충전부위에는 23㎸ 검전기(CDV-5)를 사용할 것


 나. 상 측정기(phase tracer)
   ㅇ 개 요    
      발신기에서 사선 케이블 A, B상에 각기 다른 주기의 파장을 실어 보내고 C상으로 회귀시켜 상을 파악할 장소에서 수신기(TCD-2)와 감지코일(pick up coil)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파장의 형태로써 상을 구분하며,  파장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는 측정하고자 하는 A, B, C상이 아닌 다른  선로로 판정하게 된다.  

 

   ㅇ 구조 및 명칭
 
   ① 출력조절기(CURRENT)      ② 전류계(D,C AMP METER)
   ③ 전원표시등                       ④ 전원 스위치
   ⑤ 선택스위치(CONT, INT)      ⑥ ⑦ ⑧  출력접속단자
   ⑨ 감지계기                          ⑩ 탐지코일(pick up coil) 접속단자
   ⑪ SENSE S/W

 

  ㅇ 취급 방법
    ① 측정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맞은편 종단을 3상 일괄 단락하고 접지한다.
    ② 발신기를 수평하게 놓고 기기외함을 3종접지하고 ⑥⑦⑧을 순서에 따라 A, B, C상에 연결한다.
    ③ 케이블의 길이에 따라 선택스위치(⑤번)을 케이블 긍장이 짧으면 "CONT"를 선택, 길면"INT"를 선택한다(일반적으로 CONT선택)
    ④ 출력조정기(CURRENT ①번)을 "0" 으로 조정한다.
    ⑤ 전원스위치(④번)을 on"하면 신호등(③번)이 점등된다.
    ⑥ 출력조정기(①번)을 천천히 올리면서 전류계의 눈금을 주시하여 케이블 임피던스가 1[Ω]이하인 경우는 30amps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⑦ 수신기(TCD-2)에 감지코일을 연결하여 수신기의 쎈서(⑪번)을 on"하고 수신감도에 따라 조정한다.
    ⑧ 상을 구분할 위치에서 감지코일을 케이블 위에 얹어 놓으면 감지 계기(⑨번)가 동작한다.
  ㅇ 상구별 방법
     ① 선택스위치(⑤번)를 CONT(연속형)에 위치할 경우  
       · A 상 : 5초 간격으로 1분에 12회의 신호를 보낸다.
       · B 상 : 1.6초 중복신호를 1분에 12회 보낸다.
       · C 상 : A상과 B상으로 보내어진 신호가 C상으로 회귀하므로 1.6초간의 신호가 1분에 36회 감지된다.


     ② 선택스위치(⑤번)을 INT(단속형)에 위치한 경우
       · A상 : 5초 간격으로 1분간 신호를 보내고, 1분간은 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 B상 : 1.6초 중복신호를 A상 신호가 나가지 않는 1분동안 내보낸다.
       · C상 : A상과 B상으로 보내어진 신호가 C상으로 회귀하므로 1분동안은 5초 간격의 신호가 감지되고 다음 1분동안은 1.6초의 중복신호가 감지된다.
 

 다. 절연내력 시험기(DC insulation tester)
   ㅇ 개 요
      케이블 절연체의 내전압 시험을 통하여 절연내력을 측정하는 기기로써 직류(DC)전압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전압 변환기이다. 케이블 내압시험은 물론 절연체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케이블의 절연열화 시험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정밀급 계기이다.
        
         ① 전압계
         ② RETURN 단자
         ③ GROUND 단자
         ④ GUARD 단자
         ⑤ INTER LOOK 단자 (LOOK장치)
         ⑥ 고압휴즈 (HV FUSE)
         ⑦ 전류계 (CURRENT METER)
         ⑧ 영점조절나사
         ⑨ 전류범위선택단자 (CURRENT RANGE)
         ⑩ 적색누름버튼 (OFF : 고압차단)
         ⑪ 적색표시등 (고압출력표시됨)
         ⑫ 흑색누름버튼 (ON : 고압출력)
         ⑬ 출력전압조절단자 (RAISE VOLTAGE : 고압전압조절)
         ⑭ 휴즈
         ⑮ 표시등 (입력전압표시등)
         16 전원스위치
         17 출력전압선택단자 (VOLTAGE RANGE)
             LOW : 0∼20㎸,  MED : 0∼40㎸,  HIGH :  0∼80㎸

 

  ㅇ 취급방법
     ① 외함을 흑색(Ground ③번)단자와 3종접지한다
     ② 적색(Return ②번)단자와 흑색(Ground ③번)단자에 점퍼선(jumper link)을 연결하고 중성선(접지선)에 연결한다.
     ③ 고압출력 리드선을 측정하고자 하는 선로의 심선에 접속한다.
     ④ 전류범위 선택단자(Current Range ⑨번)을 × 1K에 위치, 출력 전압 선택단자(Voltage Range 17번)을 Low에 위치시킨다.
     ⑤ 인터록(INTLK ⑤번)단자를 꼽는다.
     ⑥ 전원스위치(16번)을 on"하고 백색표시등이 점등됨을 확인한다.
     ⑦ 흑색버튼(High Voltage⑫번)을 눌러 적색 표시등(⑪번)이 점등됨을 확인한다.
     ⑧ 출력전압 조절단자(Raise Voltage⑬번)을 필요한 전압에 이를 때까지 천천히 증가시키면서 전압계, 전류계, 시험선로 등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⑨ 원하는 전압과 시간으로 내압시험을 하고, 원하는 전압에서 필요한 시간대의 누설전류값을 측정한다.
     ⑩ 측정을 마친뒤 출력전압 조절단자(⑬번)을 "0"으로 서서히 돌리고 전압계에 표시되는 전압이 0∼3,000V에 이를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⑪ 적색 누름버튼(High Voltage Off ⑩번)을 누르고 적색 표시등(⑪번)이 꺼짐을 확인한다.
     ⑫ 전원스위치(16번)을 "OFF" 하고 백색표시등(⑮번)이 꺼지는 것을 확인한다.

 ♣ 주 의  1
 - 측정을 완료한 후 본 기기에서는 고전압이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시험시 케이블에 충전된 전압이 남아 있을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 주 의  2
 - 측정시 고전압에 의하여 이웃한 케이블에도 유도에 의한 충전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 주 의  3
 - 측정중 트러블이 발생하여 고전압이 차단되었을 때 케이블에 잔류하는 전하가 충분히 방전된 후 다시 전압을 인가해야 한다.  

 

 ☞ 요 점  1
 ㅇ 흑색 누름버튼 (⑫번)을 눌렀으나, 적색 표시등(⑪번)이 켜지지 않으면서 고전압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 원인 : 결선 또는 시험방법이 잘못되었다.
 - 조치 : 처음 결선과정에서 부터 다시 시도한다.

 

 ☞ 요 점  2
 ㅇ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16조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電路의 최대 사용전압의 1.5배, 0.92배, 1.25배 등의 시험전압을 電路와 大地間(심선과 대지)에 인가하여 10분 동안 견디어야 하며 케이블은 시험전압 2배의 DC로 시험할 수 있다.

    -  공칭전압 :  22.9㎸     - 최대사용전압  : 25 ㎸
    -  시험전압 :  DC 46.0 ㎸   

 

 ☞ 요 점  3
 0  누설전류의 크기에 따른 열화판정 기준 ( CN-CV  CABLE)

    - 공칭전압 : 22.9㎸   - 인가전압  30 ㎸
    - 판정기준
     ·양   호  : 10 ㎂/㎞ 이하
     ·요 주 의 : 11-50㎂/㎞
     ·불    량 : 51 ㎂/㎞ 이상

 

 ☞  요 점  4
 ㅇ 성극비에 의한 열화판정 기준

                        I1                                      
     성극비  =  ----- < 1 : 불량            I1 : 1분후의 누설전류
                        I
3                             I3 : 3분후의 누설전류



      

 ☞ 요 점  5
 ㅇ 선간 불평형율에 의한 열화판정 기준
                                 3상 누설전류 (최대 - 최소)
     선간 불평형율  =  --------------------------   X  100
                                     3상 누설전류 평균치

     선간 불평형율 값이 200% 이상이면 불량


 라. 절연저항 측정기 (Megohm tester)
  ㅇ 개  요
   저항값을 측정하는 기기로써, 케이블 고장시 절연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고장상과 건전상을 구분하며, 밧데리식과 수동 발전식으로 나뉜다. 발생전압에 따라 DC 500·1,000·2,000·2,500V 등이 있으나 우리회사에서 많이 사용하는 DC 2,000V 밧데리식의 사용법을 기술한다.
  ㅇ 취급 방법
    ① 밧데리를 체크(check)한다
    ② 적색(POS)단자에 케이블의 심선을 연결하고,
    ③ 흑색 (Ground)단자에 그 케이블의 차폐선(중성선)을 연결하며,
    ④ 누름버튼을 눌러 지시되는 값을 읽는다

 ♣ 주 의
  측정이 끝난뒤에도 케이블에 充電電荷가 잔류하므로 방전을 시킬 것

 

    마. 케이블 고장탐지기(capacitor discharge fault locator)
  ㅇ 개  요
  - 지중케이블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정확한 고장점 위치를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측정기로써, 머레이루프 테스터를 사용하여 케이블 고장점 거리를 찾고, 케이블 고장탐지기로 고장발생 지점을 탐지하게 된다. 또 지중배전선로의 케이블 고장에서 많이 나타나는 불완전 접지에 의한 지락사고시에 접지저항을 낮추기 위한 케이블 버닝(burning)설비를 갖추고 있다.
   - 고장케이블에 일정량의 전하를 일정주기로 충전과 방전을 반복 할 수 있는 방전장치(capacitor discharge)를 내장하고 있어, 음향탐지기(acoustic ditector, FD-202C)와 병행운용함으로써 고장점의 위치를 찾게  된다.


  ㅇ 구조 및 명칭
    ① 전압계
    ② 전류계
    ③ 타이머(0∼15초까지 조정가능)
    ④ 출력전압 조절단자(Raise Voltage)
    ⑤ 전류범위 선택단자(Current Range) : 0∼1, 0∼10, 0∼100㎃
    ⑥ 표시등(Ground) : Mode Selector(18번)를 GRD단자에 위치했을 때 불이 켜짐
    ⑦ 표시등(CAP discharge) : Mode Selector(18번)를 C/D 단자에 위치하였을 때 불이 켜짐
    ⑧ 표시등(Hipot/Burn) : Mode Selector (18번)를 H/B단자에 위치했을 때 불이 켜짐
 
    ⑨ 표시등 (전원표시등)
    ⑩ ⑪ 전원스위치
    ⑫ 적색누름버튼 (고압출력을 차단)
    ⑬ 흑색누름버튼 (고압출력을 발생)
    ⑭ 적색 표시등 (고압발생 및 차단을 표시)
    ⑮ C/D 단자 :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H/V출력 Cable이 콘데사 방전 에너지 이동스위치와 연결되며 일정시간마다 방전하게 된다.
    16 GRD 단자 : HV 출력 CABLE이 접지와 연결된다.
    17 Mode Selector S.W : H/B, C/D, GRD와 연결하게 된다.
    18 H/V 단자 : H/V 출력 Cable이 70㎸, 100㎃ 출력단자에 연결하게 된다
    19 Station Ground 단자 : 외함 접지단자
    20 Input 단자 : 입력전원 단자
    21 EXT INTLK : 인터록 장치
    22 HV Output : 고압출력 단자
    23 HV Return : 고압귀로 단자


  ㅇ 취급 방법
    - Hipot/Burn 조작 : 고장점 저항감소
     ① 뒷편의 접지(Station Ground 20번)단자를 기기에 접지한다.
     ② 뒷편의 출력리드선(H/V Output 23번)을 고장상 케이블의 심선에 연결한다.
     ③ 뒷편의 회귀리드선(H/V Return 24번)을 고장상 케이블의 중성선에 연결한다.
     ④ 뒷편의 인터록(Intlock 22번) 단자를 꼽는다.
     ⑤ 전원 스위치(⑩ ⑪ 번)를 " on " 하고 표시등을 확인한다.
     ⑥ 조작선택스위치(Mode Selector 18번)를 H/V (19번)에 위치하고 운전표시등(Hipot/Burn ⑧번)이 점등됨을 확인한다.
     ⑦ 고압흑색버튼(High Voltage ⑬번)을 " on "하고 적색표시등(⑭번)이 점등됨을 확인한다.
     ⑧ 출력전압 조절단자(Raise Voltage ④번)를 천천히 올리면서 전압계, 전류계 및 시험선로 등을 주의깊게 살핀다.

 ♣ 주  의
 - 누설전류가 100㎃ 이상이 되면 방전기가 동작하여 고전압 발생이 안되므로 다시 "0" 으로 원위치 시키고 ⑦번 동작부터 재시도한다

        
     ⑨ 시험후 출력전압 조절단자(④번)를 "0"으로 돌려 놓고 전압계에 표시되는 전압이 0∼3,000V에 이를 때까지 기다린다.

 ♣ 주  의
 이때 본 기기에서는 고전압이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시험시 케이블에 충전된 전압(殘留電荷)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⑩ 고압 적색버튼(High Voltage ⑫번)을 " OFF "시키고 적색표시등(⑭번)의 꺼짐을 확인한다.
     ⑪ 조작선택스위치(Mode Selector 18번)을 접지(GRD 17번)에 위치한다.
     ⑫ AC 전원스위치(⑩ ⑪번)을 " OFF "한다.         

 

  나) 정전방전기 조작 : 고장위치 검출
    ① 뒷편의 접지(Station Ground 20번) 단자에 기기를 접지한다.
    ② 뒷편의 출력리드선(H/V Output 23번)을 고장상 케이블의 심선에 연결한다.
    ③ 뒷편의 회귀리드선(H/V Return 24번)을 고장상 케이블의 중성선에 연결한다.
    ④ 뒷편의 인터록(Intlock 22번) 단지를 꼽는다.
    ⑤ 전원 스위치(⑩ ⑪ 번)를 on"하고 표시등(⑨번)이 점등됨을 확인한다.
    ⑥ 조작선택스위치(Mode Selector 18번)를 C/D (16번)에 위치하고 운전표시등(Capacitor Discharge ⑦번)이 점등됨을 확인한다.
    ⑦ 우측 상단의 타이머(Cap Discharge REP Rate ③번)를 필요한 시간(약 3초)으로 맞춘다.
    ⑧ 고압 흑색버튼(High Voltage ⑬번)을 on"하고 적색 표시등(⑭번)이 점등됨을 확인한다.
    ⑨ 출력전압 조절단자(Raise Voltage ④번)를 필요한 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올린다.

 ♣ 주  의
  이때 전압은 30,000 V 를 초과하지 말것


    ⑩ 일정주기로 송신한 신호를 케이블이 위치한 지상에서 음향탐지기의 진동 감지기로 검출한 후 수신기로 증폭시켜 감지되는 신호의 강약을  이용하여 고장점을 탐지하게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신호(PULSE)를 보낸다.  
    ⑪ 고장 케이블에 반복되는 층, 방전에  의한 국부적인 지진 교란의 음파를 감지하여 감지된 음파를 증폭하므로써 고장점 위치를 찾게 된다. 또 케이블 주위에 유기된 전자자계를 감지하여 증폭기를 거쳐 표시계기를 동작시킴으로써 고장점 위치를 찾는다.
   ⑫ 시험후 출력전압 조절단자(④번)를 "0"으로 돌려 놓고 전압계에 표시되는 전압이 0 ∼ 3,000V에 이를 때까지 기다린다.

 ♣ 주  위
  이때 본 기기에서는 고전압이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시험시 케이블에 충전된 전압(殘留電荷)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⑬ 고압 적색버튼(High Voltage ⑫번)을 " OFF " 시키고 적색표시등(④번)의 꺼짐을 확인한다
   ⑭ 조작선택 스위치(Mode Selector 18번)을 접지 (GRD 17번)에 위치한다
   ⑮ AC 전원스위치(⑩, ⑪)을 " OFF " 한다

 바. 머레이루프테스터(Murray loop tester, High resitance fault locator)
   ㅇ 개 요
     지중케이블에 고장발생시 고장점의 위치를 거리로 환산하여 찾는 방법으로써 휘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원리를 적용한 케이블의  선로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다.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고장점의 접지저항을 낮출 필요가 있으며 휘스톤 브리지 회로를 이루기 위해서는 선로에 건전상 한 상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3상단락이나 3상지락 고장의 경우에는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특히 단선사고의 경우에도 브리지회로 구성이 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펄스레이더 (pulse rader)를 사용해야 한다.
   ㅇ 구조와 명칭
         
          ① 검류계                           ② "0" 점 다이알
          ③ 밧데리 Check 스위치      ④ Main Dial
          ⑤ Conductor "-" 단자 : 건전상 도체에 연결
          ⑥ Conductor "+" 단자 : 고장상 도체에 연결
          ⑦ Guard  단자                   ⑧ Ground  단자
          ⑨ Sheath 단자 : 고장상 Sheath(중성선)


   ㅇ 측정 방법
     ① 고장선로를 절연저항계(Megger)로 건전상과 고장상을 먼저 구분한다.
     ② 측정기를 수평하게 놓고, C/Batt(③번)을 on 하여 내부 밧데리 상태를 점검한다(8.5V 이상).
     ③ 접지단자(Ground ⑧번)에 접지선을 연결하여 측정기를 접지한다.
     ④ Sheath(⑨번) 단자에 고장상의 중성선을 접속한다.
     ⑤ Conductor "-"(⑤번) 단자에 건전상 심선을 접속한다.
     ⑥ Conductor "+"(⑥번) 단자에 고장상의 심선을 접속한다.
     ⑦ DC 12V 건전지의 '-" 극을 Conductor "-"(⑤ 번)에 접속하고 검류계의 바늘이 "0" 이 되도록 Zero 다이얼(②번)을 조정하여 영점을 맞춘다.
     ⑧ DC 12 건전지의 "+"극을 Conductor "+"(⑥번)에 접속하면 검류계 바늘이 움직인다.  
     ⑨ Main 다이얼(④번)을 조절하여 검류계 바늘이 영점(중심)에 오도록 조정하면 카운터에 나타나는 값이 측정값(a)에 해당한다.
     ⑩ Conductor "+ -" 단자에 물린 도체를 상호 바꾸어 접속하게 되면 측정값은 ⑨항에서 측정한 (a)값의 1,000에 대한 보수로써 나타난다.
     ⑪ 측정이 끝나면 DC 12V 건전지를 분리하여 보관한다.

 (1) 고장점 거리 계산방법
           ab = bc
           a × (2L - X) = bx
           2aL - aX = bX                X : 구하는 거리,   a : 측정값
                    2aL                      L : cable 긍장,   a + b : 일정값
           X =  ------   
                   a + b

 ☞ 요 점
   확인을 위하여 Conductor 의 ⑤번과 ⑥번을 바꾸어 결선하면 (a + b) - a,  즉 b의 값에 해당하는 값이 측정된다.


   "예 1"
      . 선로긍장 (L) : 750 m, 측정값 (a) :342 경우
                 2 x 342 x750                   
       X   = --------------  =  513 m
                      1,000

   "예 2" 같은조건에서 ⑤ 번과 ⑥ 번을 바꾸면
         측정값 (b) 는 ( a - b ) - 342 = 658 이 되며
                  2 x 568 x 750
        X  = -----------------   =  987 - 750 = 237 m
                       1,000
       
      .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측정지점에서 513m 지점이 고장점이므로 결선을 반대로 하면 237m 지점임을 알 수 있다.

 <문제 1> 케이블선로의 준공시점에서 시행하는 측정의 종류와 사용하는 측정기는?

 <문제 2> 일반검전기와 용량성 검전기의 용도 차이는?

 <문제 3> 케이블의 절연성능을 판정하는 측정기의 종류와 그 기준치는?

 <문제 4> 케이블의 고장위치를 측정하는 기기로써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문제 5> 케이블 긍장이 1.5㎞인 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머레이루프 테스터로 측정한 결과 측정값(a)이 14.5 였다면 실제 고장점까지의 거리는?

 <문제 6> 케이블 긍장이 450m인 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하여 머레이루프 테스터로 측정한 결과 측정값 (b)이 85인 이 선로의 구성은 60㎟ 50m이고, 325㎟ 400m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정지점은 60㎟ 종단부분이다. 고장점까지의 거리는?


 사. 비접촉 적외선 온도측정기
   ㅇ 개 요
    지중 케이블의 直線, 端末處理, 엘보, 中性線등 온도를 갖는 모든 부위에서 방출하고 있는 열에너지의 量을 赤外線으로 감지하여 온도의 값을 수치로 나타내며 이 수치를 비교하여 열화의 진행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이다
   ㅇ 측정 대상
     ① 케이블
     ② 케이블의 접속부분 (직선, 분기, 종단, 엘보)
     ③ Pad 변압기의 2차단자
     ④ 저압케이블 접속점
     ⑤ 중성선
  ㅇ 기능 설명
     ① MAX : 측정되는 동안 가장 높은 온도값
     ② MIN : 측정되는 동안 가장 낮은 온도값
     ③ DIF :  MAX 값과 MIN 값의 차
     ④ AVG : 측정되는 값의 평균값
     ⑤ HAL : 상한온도 설정값
     ⑥ LAL : 하한온도 설정값
     ⑦ TAM : 주변온도 설정값    


  ㅇ 측정 요령
     ① 측정 방법
        Mode를 이용하여 MAX에 위치시키고 방아쇠를 당기면 피측정부위의 온도가 화면에 나타난다.


     ② 측정거리와 측정부위
       측정하고자 하는 목표물까지의 거리와 측정부위와의 비는 30 : 1
       의 비율로 증가한다.

 

       "예 1"  5m 의 거리에서 측정을 한다면
              500 ㎝ : X = 30 : 1 이 되어  X = 17 ㎝
             즉 레이져빔의 중심에서 직경이 17㎝ 인 면적에 온도를 측정하게 되므로 케이블의 굵기를 초과하여 뒤면에 있는 물체의 온도까지  측정하게 되어 오차가 발생한다.
      "예 2" 1.5m 의 거리에서 측정을 한다면
            150 ㎝ : X = 30 : 1 이 되어  X = 5 ㎝
            즉 레이져빔의 중심에서 직겨이  5㎝ 의 부위에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③ 방사율(MAX, MIN, AVG)
      온도를 갖는 모든 물체는 적외선 에너지를 방출하지만 재질에 따라 반사하는 경우도 있다.
      즉 어둡거나 거친 표면에 비하여 광택이 있거나 반짝이는 표면은 반사를 많이 하게 되어 서로 다른 방사율을 적용하게 된다.
     매끄러운 전기동의 방사율   e = 0.02
     녹 슬지 않은 철의     "      e = 0.2
     아연도금 철의        "     e = 0.2
     콘크리트             "     e = 0.95
     프라스틱             "     e = 0.95
     고 무                "     e = 0.95

 

   ④ 경보 온도설정(HAL, LAL)
      Mode를 바꾸어 HAL 에 위치시키고 바아쇠를 당긴 상태에서 온도 수치를 원하는 값에 놓고 Lock를 누르고 화면상에 HAL과 원하는 온도 수치를 확인한후 MAX에서 측정한다.
      해체시에는 Mode를 HAL로 바꾸어서 Lock를 눌러 준다.

 

   ⑤ 주변온도 보상
     피특정물의 주변온도와 측정기의 주변온도가 현저하게 다를 때, 또는 방사율의 낮은 매질일 때 사용한다.
     1) 방사율 1.0 에서 측정대상의 주변온도의 평균을 찾아낸다.
     2) TAM 에서 이 값을 입력시키고 Lock 시킨다.
     3) MAX 에서 피측정체의 방사율로 바꾸어서 측정하면 주변온도를 보정한 값이 나타난다.
     4) 해제시에는 Mode를 TAM로 바꾸어서 Look를 눌러준다.

 

   ⑥ 주의사항
     레이져를 신체부위 특히 눈동자등에 방사시키지 않도록 한다.


  ㅇ 표면온도 비교측정
    ① 동일 D/L에서 케이블과 접속재의 온도비교
    ② 동일 D/L에서 접속부위 A, B, C상간의 표면온도 비교
    ③ 동일 D/L 동일접속재의 부하전류에 따른 측정비교 (열화 진전상태 예상)
    ④ 인접 맨홀내에서 동일 D/L 접속재의 표면온도 비교


  ㅇ 측정개소
    ① 케이블 접속재 : 중앙부분 (스리브부분)과 양쪽 끝 부분
    ② 케이블 표면 : 접속재로부터 약 50㎝ 떨어진 지점
    ③ 엘보접속재 : 볼트 연결점
    ④ 케이블 헤드 : 스트레스부분, 동관단자 접속점(방사율선택에주의)
    ⑤ 각종 설비의 접지선 접속점


  ㅇ 열화판정 상태
    표면온도 비교측정 결과와 제반 운전조건(부하, 선로특성, 접속재 종류, 맨홀 내부온도, 선로위치 등)과 현장 경험을 종합 검토하여 신중한 판단이 요구된다.


 아. 지하매설물 탐지기 (Cable and Sheath Fault Locator)
  (1) Dynatel 573A
  ㅇ 개 요
    송신기에서 특정한 신호를 발생시켜 지하 매설물(케이블등)을 이용
    하여 전달된 신호를 찾아 케이블이 매설된 경로와 깊이 그리고 고장점을 찾는 계측기이다.


    ① 송신기
     가) 탐지 미터계(Fault Meter) : 절연저항의 정도에 따라 고장상과 건전상을 구분한다.
     나) 송신강도선택 S/W(Output Level) : 선로의 상태(누설의 정도, 긍장)에 따라 강도를 선택한다.
     다) Route 측정반(Cable Locate) : 케이블의 매설된 루우트와 깊이를 측정한다.
     라) 고장점 측정반(Fault Locate) : 탐지미터계를 작동시켜 고장상과 건전상을 구분한다.


    ② 수신기
     가) 수신선택 S/W(Reciver Mode) : 최대법(peak), 최소법(null), 깊이(set), 고장점(fault)을 구분 운영한다.
     나) 수신감도 조절다이얼 : 수신되는 신호의 大, 小를 조절하여 루우트 측정 및 깊이를 측정한다.
     다) 고장탐지단자(Fault Jack) : 고장점을 탐지하기 위하여 탐지틀 코드선을 삽입 연결한다.


  ㅇ 취급방법
     ① 송신기 설치
       가) 직접연결법 : 사선인 경우 가능하며 #9012 케이블의 코드를 송신기에 꽂고, 적색 코드를 측정하려는 케이블의 심선에 연결하고 흑색코드는 케이블 반대편에 접지시킨다.
       나) 다이나 카플러법 : 송전중인 선로에 이용 가능하며 수갑형태의 카플러를 측정하려는 케이블위에 수갑형태로 채운다.


    ② 수신기 운영
      가) 최대법 : 수신선택 S/W를 peak에 놓고 송신기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보내온 신호를 탐지하게 되는데, 가장 크게 포착되는 부분이 케이블 매설지점이 된다.
      나) 최소법 : 수신선택 S/W를 null에 놓고 송신기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보내온 신호를 탐지하게 되는데, 가장 적게 포착되는 부분이 케이블 매설지점이 된다.
      다) 깊이측정 : 수신기를 케이블의 위치한 지면에 놓고 수신선택 S/W를 set에 고정시키고, 수신감도 조절다이얼을 이용하여 수신미터계의 바늘이 set에 오도록 조정하고 수신선택 S/W를 peak에 고정한다.
         수신기를 천천히 지상으로 들어 올리면서 수신미터계의 바늘이 Set에 도달하면 이때의 지표면과 수신기와의 거리가 지표에서 케이블과의 거리가 된다.
     라) 고장점 탐지 : 고장탐지단자(Fault Jack)에 탐지틀을 접속시키고 수신선택 S/W를 fault에 놓는다.
         탐지틀의 녹색방향이 고장점을 향하여 전진하면서 탐측한다. 수신미터계의 바늘이 적색으로 바뀌는 지점이 고장점이 된다.

 

 (2) RD433HCTX-2
  ㅇ 개 요
   - 정밀한 지시점
    수신기에는 2개의 탐지 안테나가 있다. 두 개의 수평 안테나에 의해 목표선상의 최고점 반응(Peak Response)의 위치는 수직안테나의 영점반응(Null Response)으로 확신이 가능하다.
    이 반응에 대응하는 지점이 정확한 지시점이 되며, 이 지점에서 깊이 측정키를 눌러서 나타나는 깊이를 읽고, 목표선 까지의 정확한 깊이 측정이 이루어지는 장비이다.
 - 송신기의 선택
   RD400은 여러 종류의 송신기를 선택할 수 있다.
   RD433HCTX-2 휴대용 송신기는 장거라망상에서 사용되는데, 가볍고 건전지 밧데리와 같은 12V로도 작동된다. 여러 상황에서 최대의 추적거리와 최대의 위치탐지의 정확도를 얻기위해 저주파신호는 목표라인에 직접 연결할 필요가 있다.
 - 범용성 : 그밖의 탐지모드
   목표라인의 위치탐지와 그것을 명확히 확인하는 특수한 기능외에 RD400은 범용 탐지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8 ㎑의 탐지모드는 모든 종류의 매설된 금속관로와 케이블의 위치탐지에 이상적인 모드이다. 송신기 신호는 어떤라인에 크램프, 유도, 직접접속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송신탐침(SONDE)을 비금속 관로에 삽입하여 그 탐침을 탐지하므로서 비금속제의 닥트나 배수관을 추적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수신기에는 매설 전력선이나 다른 라인상의 50/60㎐ 에너지를 찾아내는 P탐색모드가 있고, 그 자신의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는 장거리라인을 찾아내는 R모드가 있다. R모드는 통신망 선을 탐지하기 위해 특별히 유용하다.
 - 계기판 표시와 기능
   수신기는 계기 판으로 반응도, 게인(Gain), 매설깊이, 밧데리 상태 등을 나타낸다
   조정키 패드로 사용자는 모드와 기능을 선택하게 하고 감도조절기로 신호에 맞게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ㅇ 구조 및 명칭
   (가) 송신기
   ⊙ 송신 주파수에 대하여
    -  Lf  : 저항이 적은 장거리 통신 케이블에 쓰인다.(유도법사용불)
    - 8㎑  : 대체적으로 많이 쓰이며, 33㎑ 보다는 신호를 멀리 송신한다.
    - 33㎑ : 8㎑보다는 신호가 멀리가지 않으나, 신생관로나 가스관같은 저항이 높은 파이프 탐사 시에는 장점이 있다.
   - 65㎑ : 저항이 아주 강한 도관이나, 유도법 사용시 탁월한 효과가 있다.
   **송신기의 주파수와 수신기의 주파수가 항상 일치해야 탐사가 가능하다.


                        
송신기 명칭 및 용도

 

1). 키페드
 ① 전원 스위치
 ② 조명 스위치
 ③ A.V.O키 - 누룰때마다 각모드로 이동됨
  V: 직접법 사용시 라인의 전압을 검사한다.
       110V 이하만 사용한다.
  Ω: 직접법 사용시 라인의 전압을 검사한다.
  A: 직접코드 사용시 송신전류를 검사한다. 체크시 라인키로조정
 ④ 모드키: 각주파수를 설정한다. 직접범용 코드를 사용전에는 8K,33K,65K만 선택된다.
 ⑤ 증가(Up)키 : 출력을 4단계로 증가시킨다.
 ⑥ 감소(Down)키
 ⑦ 선택키 - 모드키로 이동된 커서를 선택한다. 커서가 정지됨
 ⑧ 라인키: A.V.O 체크시
 ⑨ 스피커키: 스피커음을 조절

 

2) L C D (동작화면)
   ⓐ CD: CD 신호를 발신한다.
     RD432PDL2 수신기에서만 사용됨
   ⓑ Lf: Lf(512㎐) 신호를 발신한다.
   ⓒ 8K: 8㎑ 신호를 발신한다.
   ⓓ 33K: 33㎑ 신호를 발신한다.
   ⓔ 65K: 65㎑ 신호를 발신한다.
   ⓕ User ㎐: 사용자 임의의 신호를 발신한다. 주파수 선택은 UP, DOWN키로 조정
   ⓖ FF Normal: 보통의 결함탐지용
   ⓗ FF Boost: 강한 결함 탐지용 주파수 발신
   ⓘ Multi: 한 라인에다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주파수를 발신한다.
   ⓙ Connect 24V: 24V로 직접 접속 상태
   ⓚ Connect 50V: 50V로 직접 접속상태, 강한도체에만 사용

 

**ⓒⓓⓔ만 유도법/직접법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나머지는 직접 범용 소켓을 사용해야 기능이 선택된다.
**만약에 전선에 55V 이상의 전압이 있으면 아람이 울린다.
**User ㎐는 153㎐/531㎐/577㎐/8.5㎑/9.82㎑/83㎑/20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것은 현재 쓰고 있는 수신기가 비록 RD사社 제품이 아니더라도 쓸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 또한, fa, fb 기능은 RD400PDL2에 있는 기능으로 다른 회사의 송신기를 쓸 때 임의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나) 수 신 기
      
수신기 명칭 및 용도
 

 1) 키 패드
  ① 전원 스윗치
    전원이 on되는 동시에 수초간 수신기 자체의 Test가 이어진다. 또한 전원이 Off되는 동시에 Galn과 모든 Mode는 그대로 저장된다.
  ② 모드(Mode) 스윗치
    스 윗치를 누를때마다 지시계 맨윗쪽에 있는 모드 화살표가 한 번씩 오른쪽으로 이동하게되고 각기능이 설정된다.
  ③ 라인/탐침 스윗치
    일반금속 파이프와 케이블 탐사시에는  
을 선택하고, 공관로 탐사목적인 탐침(SONDE)를 사용할 때에는  을 선택한다.
   ④ 송신전류 측정
    송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송신전류를 수신기로 측정한다. 이동거리 만큼 송신전류는 점차 감소하게 된다.
   ⑤ Gain 조절키
    수신기의 수신감도를 조절한다.수신감도가 너무 적을 경우는 △ 키를 눌러 Gain지시계(11)를 증가시킨다. 이때 수신감도가 너무 클 경우(99.9) ▽ 키를 눌러서 Gain지시계(11)를 감소시킨다. 이때 Gain 지시계 “--”가 상하로 이동하면 적당한 상태로 자동 조정된다.
    ⑥ 테스트(Test) 키
    수신기 자체를 테스트한다. ↑ (쉬프트키)를 누른상태에서 ∨를 누른다. “tSt”이란 표시후 정상이면 “PAS”불량이면 “FAL”이라고 표시된다.
    ⑦ 스피커 소리음을 조절한다. ↑ 키를 누른상태에서 ☏ 키를 동시에 누른다.
    ⑧ Peak/Null키
    탐사방법중 Peak(최대법), Null(최소법)중 하나를 선택한다.
    ⑨ 조명계
    야간탐사용 조명등
    ⑩ 깊이측정 스윗치
    송신기 신호를 측정하여 깊이를 ㎝/m단위로 나타낸다. 따라서, 모드(전력선 탐사모드)나 Å모드(통신선 탐사모드) 에서는 매설위치는 탐사할수 있어도 깊이는 체크할수 없다. 단 45도법 등의 간접방식으로 가능하다.
      **반응값이 너무 적거나(0-10) 99.9를 넘어가면 깊이측정이 안된다.
    ⑪ 쉬프트 (Shift)키
    스피커 소리조절이나 Test버튼 사용할 때 사용한다.

 

   2) 동작화면 (Liquid Crystai Display)
   ① Mode키(f)에 대한 각 기능의 설명
    ↕  - CD 기능 설정모드 (RD432PDL2)
     Lf  - 512㎐ 의 탐사모드,
     8   - 8㎑의 탐사모드,
     33  - 33㎑의 탐사모드,
     65  - 65㎑의 탐사모드,
      - 전력케이블 탐사모드 (P모드)
     Å - 통신 케이블 탐사모드, (R모드)
   ② fa, fb : 다른 송신기와 사용할 때 임의 주파수
   ⑥ 매설물 방향키
     Null키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화살표로 매설물 위치를 가르킨다.
   ⑧ 배터리 상태를 표시한다. 위에서 한칸씩 없어진다.
   ⑪ Gain지시계
     수신기의 감도설정을 나타내며, 깊이나 송신전류 측정시 에러(Error)가 날 경우에 에러 메시지를 보낸다.
    Err#11 : 대상물이 없는 곳에서 측정했거나 결과값이 불확실하다.
    Err#9 : 송신신호가 너무 적거나 많다.
    Err#21 : 목표물이 너무 깊이 있다. (4.5M)이상
   ⑬ 반응값
    수신신호를 숫자 및 그래프로 표시한다. 피크점에서 80정도 표시하게 게인(Gain)을 조절한다.


  ㅇ 사용법
   **능동신호(Active signal)
    수도관, 가스관같이 전류가 흐르지 않는 물체에 임의적으로 신호를 주는 것을 말함, 따라서 배관자체에 송신기로 8㎑, 33㎑ 등과같이 임의적으로 신호를 가해서 수신기의 8K, 33K 모드로 탐지한다.
   **수동신호(Passive signal)
    전력선, 통신선과같이 이미 자체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말함 따라서 송신기가 필요없이 수신기의 Power()모드로는 전력선을 버튼으로는 깊이측정이 불가능하다.


  1) 송신기 사용법
  (1) 직접법 송신
      방법 : 도전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접속부위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접지선을 접지소켓에 끼우면 단절음이 연속음으로 바뀐다. 빨간집계는 접지봉을 땅속깊이 박고 물린다. 이때 접지가 잘되었으면 연속음이 다시 단절음읋 바뀐다.
      ★ 장점: 찾고자 하는 물체를 쉽게 알아낼 수 있다. 연속적으로 이어진 수도관, 가스관 등에 사용된다.
      ☆ 단점: 신생관로나 부식된 밸브 등의 배관에 적용하기 어렵고, 전기배선인 경우 안전하지 못하다.

 

  (2) 클램프법 송신
      방법 : 송신기의 출력부에 클램프를 접속하고 배선주위에 클램프가 완전히 물리도록 연결한 후 전원을 공급한다. 전류가 많이 흐를 경우 클램프에서 소리가 나거나 진동을 일으킬수 있으나 이것은 정상적인 경우이며 장비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클램프를 사용하면 배선과 송신기가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게 되므로 직접 연결법보다 유리하다.
      ★ 장점: 사용법이 매우 간단하며 혼선 없이 뚜렷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 단점: 직접 접속한 경우보다 신호가 멀리 가지 못하며 찾고자 하는 배선의 양끝이 반드시 접지가 되어 있어야 한다.
      ◆ 통신공사나 한전에 관계되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또한 케이블이 활선/사선 상관없다.

  (3) 유도법
     ◆ 간접법이라고도 한다. 이 방법은 보통 2m이내의 깊이에 물체가 있을 때 사용하며 그 이상의 깊이에서는 효율이 떨어진다.
    방법: 송신기를 켜고 송신기를 탐색하고저 하는 물체의 방향으로 올려 놓는다. 수신기 감도를 크게 놓고 송신기로부터 20걸음이상 떨어진 곳으로부터 탐색을 시작한다.
     ★ 장점: 물체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매우 간단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공사장의 지장물 탐사에 편리하다.
     ☆ 단점: 신호가 물체부근에서만 유도되며 발생한 신호의 일부가 주변의 흙 속에서 소실된다.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최소 20걸음 이상 떨어져서 사용하여야 하며, 절연이 잘된 물체는 양 끝선이 제대로 접지되지 않은 경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없다. 직접법보다 깊이 측정시 오차가 많다.

  2) 수신기 사용법
   (1) 피크(Peak)법
     ◆ 목표물에서 최대의 반응을 보이는 탐사법, 제일 많이 쓰임
    ① 송신기와 수신기의 주파수를 맞추어 놓는다. 최대 신호 값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기 감도를 조절한다.
    ② 직접 연결 방법이나 클램프를 사용하는 경우 4걸음정도, 유도법인 경우 20걸음 이상 송신기에서 떨어져서 계기가 최대값을 가르키는 위치에서 정지한 후 수신기 몸체를 이리 저리 움직이면서 정확한 반응 위치를 찾아낸다. 수신기 감지판 끝을 땅위에 놓고 계기의 측정범위에 맟추어 수신기 감도룰 30-80 정도로 재조절한다. 탐색된 위치와 계기의 측정값을 읽는다.
    ③ 최대반응 지점에서 수신기를 돌려서 영점반응이 나타나면 자기가 찾고자 하는 목표물이 확실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2) 널(Null)법
      ◆ Peak방식의 반대로 목표물 주위에서 최대 반응을 보이고 목표물 중앙에서는 최저 반응을 보이는 탐사법
    ① 수신기날의 방향과 Null신호는 무관(피크법은 매설물과 수신기날의 방향이 반드시 직각으로 교차하여야 한다.) 하므로 임의의 방향으로 수신기를 쥐고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물체 위에서 계기값이 Null값을, 좌우에서 최대값을 가르키는지 확인한다.
    ② 또한 피크법에서 볼 수 없는 화살표가  지시되고 소리는 왼쪽화살표는 띠-하는 연속음 오를쪽화살표는 띠-띠-띠하는 단절음으로 표시된다.
   **매설방향이 확실치 않을 때는 화살표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피크법 보다는 정확도에서 약간 떨어진다.

 

  (3) 깊이측정
     최대법으로 물체의 중앙을 탐색한 뒤 정확한 지점에서 수신기의 키패드에서 ⑩번을 누르면 LCD에 그 값이 나타난다.
     대략 4.6m이하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자. 가스 탐지기
  ㅇ 개 요
     협소한 공간의 작업장소에서 인체에 有害한 가스 또는 可燃性 가스의 濃度를 측정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한다.
  ㅇ 가스의 종류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① 산소(02) : 무색, 무취, 무중독성, 발화가능, 폭발가능

대기중 농도

접촉시간

증               상

   20.9 %   
 18 % 이하
 16 % 이하
 14 % 이하
 12 % 이하
 10 % 이하
  7 % 이하
  4 % 이하
  4 % 이하

  항   시
     "      
     "      
     "      
     "
     "      
     "
     "      
 40초이내

 평상상태 (대기중 분포량)
 작업지시 불가 ( 작업중지 조건)
 작업하지 않으면 인체에 영향이 없다
 호흡이 깊고 맥박이 증가, 작업곤란
 동작이 완만해지고 졸음이 온다
 호흡곤란, 안색이 창백, 기동 불가능
 안색이 암청색, 정신착란, 사망 가능
 근육반응이 없고 완전히 지각 상실
 지각상실, 졸도

       ※ 안전작업 가능 기준농도 : 18 %  이상

    ② 탄산가스(CO2) : 무색, 무취, 유중독성

대기중 농도

접촉시간

증              상

 0.03 % 이하
 0.1  % 이하
 1.5  % 이하
 5  %   이하
 7  %   이하  

 항시(사람에 따라
          적응함)
         "
         "
 

 평상 상태 (보통 대기중 분포량)
 위생학적 허용치
 작업 가능 한계
 호흡 곤란, 맥박 증가
 호흡 정지, 심장 정지, 치사 가능

      ※ 안전작업 가능 기준농도 : 1.5 % 이하 (비중 1.53)

 

   ③ 일산화탄소(CO) : 무색, 무취, 무중독성

대기중 농도

접촉시간

증             상

 0.01 % 이하
 0.02 % 이상
 0.04 % 이상
 0.08 % 이상

   0.16 %   

   0.32 %   
   0.64 %   
   1.28 %  

   4  시 간
  2 ∼ 3 시간
  1 ∼ 2 시간
  1 시간 이내
  2 시간 이내
  20 분  이내
  2 시간 이내
  30 분  이내
 10∼15분 이내
 1 ∼ 3분 이내

  안전작업 한계조건
  두통 발생
  두통, 구토, 현기증 발생
  두통, 구토, 현기증, 경련 발생
  실신
  두통, 구토, 현기증 발생
  치사
  치사
  치사
  치사

※ 안전작업 가능 기준농도:0.01% 이하에서 4시간 작업가능(비중 0.98)

   (1) 메탄 (CH4)  
       안전작업 기준농도 : 1.5 %
       폭발한계 농도 : 4.8 ∼ 14.5 %
   (2) 유화수소 (H2S) : 악취가 남
       안전작업 기준농도 : 0.01 %
       폭발한계 농도 : 4.5 ∼ 45.3 %
   (3) 도시가스 (CO + H2) (수성가스) : 냄새를 느낄 수 있음
       안전작업 기준농도 : 0.01 %
       폭발한계 농도 : 5.7 ∼ 40.5 %

 ㅇ 측정 방법(GX-7)
    ① 밧데리 점검 : 스위치를 Batt Check에 돌리고 메타에서 확인
    ② 홀로우모니타의 부동을 관찰하여 펌프동작을 확인한다.
    ③ 호수와 봉 또는 가스 채취봉을 채취입구에 연결한다.
    ④ 스위치를 측정(COMB.O2/MEAS)에 돌리고 가연성, 산소를 측정
    ⑤ 스위치를 해제(COMB.O2/SPAN/CO PREP)에서 1분정도 기다림
    ⑥ 탐지튜브의 삽입구의 고무캡을 벗겨낸다.
    ⑦ 튜브캇타로 탐지튜브(유리봉) 양단을 절단한다.
    ⑧ 스위치를 측정 (CO MEAS) 에 돌리고 약 1분후 펌프가 자동적으로 멈추고 채취 흡수가 완성되면 연속되는 可聽音이 들린다.
    ⑨ Alarm Reset를 눌러 可聽音을 정지시키고 튜브를 끄집어 내어 변색된 튜브를 기준표와 비교한다.
    ⑩ 측정이 끝나면 고무캡을 닫고 스위치를 COMB.O2/MEAS에 돌리고 10초 정도 지난후 스위치를 OFF한다.

 

  ㅇ 대 책
     가스 경보기를 사용하여 작업장 내의 공기를 흡입 분석하여 위험수준(可燃性 한계치의 20∼30%, 산소 : 작업기준농도)에 도달하게 되며, 계기판의 수치(O2), 색상변화(CO), 경보음(O2, 가연성) 등으로 경보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도록 한다.

 

 

제6장 지중설비 유지보수

1. 배전선로 순시 및 정비

가. 근거 : 송배전선로 순시 및 정비지침

 

나. 목 적
   선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송배전선로의 운전 유지 및 보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 적용범위
   송 배전설비의 보수는 전기사업관계법령, 계량법 및 전기보안 규정에 따른 이외에는 이 규정에 정한 바에  따르며, 공사업자가 시공하는 신 증설공사도 포함한다.

라. 용어의 정의
    o 배전선로 : 공칭전압  22,900V-y 11,400V-y 6,600V 5,700V 3,300V 380V 220V 110V급의 전선로(인입선 및 첨가 전화선 포함) 및 부대전기공작물.
    o 선로보수 : 선로의 유지 및  사고예방을 위하여 시행하는 측정 및 보수업무와 사고의 복구작업을 말한다.

마. 일반보수
  (1) 보수원의 편성
    배전선로보수원은 2인 이상으로 편성하여 작업하되 그 중 1명은 작업상 위험여부를 감시하여야 한다.

  (2) 순시
   (가) 목 적
   지중배전선로의 운전사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고치 못한 사태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사고발생(유발)개소 및 보수필요 개소를 사전에 발견하여 예방하기 위함.    
   (나) 순시의 종류
    ① 정기순시
    1개조 2인 이상으로 편성한  순시조가 담당구간을 보행으로 정기순시하며 배전선로의 이상유무 및  사고방지에 필요한 사항을 조사하여 현장에서 조치가 가능한 사항을 처리한다.
   다만, 출장소 주재소 등과 같이 조편성이 곤란한 경우에는 1인이 순시할 수 있다.
    ② 특별순시
    배전선로의 사고발생 또는 발생우려가  있거나 기타 순시가 필요한 경우 상사의 지시에 따라 불량구간을  순시하며, 사고 발생장소를 발견하였거나 예측한 경우에는 즉시 조사하여 그 결과를 가장 신속한 방법으로 보고함과 동시에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③ 간부직원 순시
    지사 및 지점의 배전보수담당  간부직원은 보수실태의 파악을 위하여 관내를 순시하여야 하며 특히 철도 인가 및 약전선 횡단 개소의 공작물 상태에 유의하여야 한다.
    ④ 안전순시
    배전선로 주변의 환견변화에 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압이상의 가공선로를 정기적으로 순시하며, 사고의  방지에 필요한 사항을 조사 조치한다.
   (다) 순시 기준

구    분

기      준

비     고

정    기

가 공

고압이상 1회이상/분기

 

저압     1회이상/반기

      지중     1회이상/월

차 량 순 시 가 능

특    별

수      시

 

간부직원

2회이상/월

 

안    전

2회이상/월

차 량 순 시 가 능


  (3)  전선로 점검
   (가) 적용범위
   배전선로 순시로 충분히 조사하기 어려운 선로의 상태 기기 및 보안장치등을 자세히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의 기준 또는 기타 필요시에  전선로의 점검 및 청소를 실시하며 경미한 사항의 보수공사를 시행한다.
   (나) 점검내용 기록
   전선로의 점검후에는 점검내용을 이력카드에 기록 관리
   (다) 정기점검 기준

항       목

기 준 회 수

비   고

1. 지상설치형변압기, 저압분전함 등의 점검

1회/1년

 

2. 접지장치 점검 및 보수

수시

3. 주의표 등 기타표지

수시

4. 지상설치형 개폐기 등 개폐기류

1회/년

5. 케이블헤드 점검 및 청소

1회/년

6. 관로점검

수시

7. 맨홀, 통로 내부점검

2회/년

8. 케이블 전용교, 첨가교량의 케이블 피로점검

수시

9. 맨홀, 통로 내 배수 및 청소

수시


   (4) 측 정
 측정업무는 정격전압의 유지 배전선로상의 기기 및 보안장치의 정상상태유지 등을 위하여 다음의 기준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o 측정기준

항     목

기준횟수

비 고

1. 선로전압 및 전류 측정

1회/2년

최대부하시

2. 배전변압기 부하측정

수시

최대부하시

3. 접지선 접지저항 측정 및 누설전류 측정

1회/2년

 

4. 수용가 인입점 전압측정

수시

 

5. 케이블 열화 측정

1회/5년

 


 바. 사고처리 및 복구
  (1) 책임자 선정
   (가) 지사 및 지점(Ⅰ) : 보선사령 또는 수리반 책임자
   (나) 지점(Ⅱ, Ⅲ) 및 출장소(Ⅰ) : 수리반 책임자
   (다) 출장소(Ⅰ, Ⅱ) : 출장소장


  (2) 지휘 및 지시
 사고처리책임자는 배전선로의 사고처리를 지휘하고 전력공급 및 안전작업에 차질이 없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가) 지령계통
   o 본사 소관부서장→지사장 또는  지점장(Ⅰ)→소관부장→보선담당과장 (보선사령)→수리반책임자
   o 본사 소관부서장→지점장(Ⅱ, Ⅲ)→공무담당부장→수리반책임자→출장 소 수리반책임자
   (나) 사고처리절차
   o 수리반은 배전선로  및 옥내의 사고발생 등 그 일체를 사고처리 책임자에게 보고하여 지시를 받아 처리한다.
   o 수리반은 사고의 미연방지 또는 사고처리에 대한 지시를 받은 때에는 신속히 처리하고 그 결과를 사고처리 책임자에게 보고
   (다) 송 휴전의 요청
 사고처리책임자는 사고확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전사령 또는 변전소책임자에게 송 휴전을 요구할 수 있다.
   (라) 고장전선로 조작
    o 전원 및 변전소 기계사로를 제외한  전선로사고는 사고처리 책임자의 지휘에 따라 처리한다.
    o 전원 및 변전소사고로 송 배전선로에 공급이 중단된 경우 배전사령 또는 변전소책임자는 사고처리 책임자와 긴밀한 연락
    을 취하여야 한다.
    o 기타 원인불명의 사고처리는 사고처리 책임자와 배전사령 또는 변전소 당직책임자가 긴밀히 연락하여 처리한다.
   (마) 응급조치 및 관계 사업소협의
 사고처리 책임자는 사고에 대하여 항상 냉정 침착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면밀히 고려하여 응급조치를 취한 후 즉시 다음에 따라 관계   사업소와 협의한다.
   o 불량개소에 대하여 구간의 보수담당자에게 통보하여 수리 또는 특별순시를 의뢰한다.
   o 사고로 인하여 정전되어도  송전결과가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그 상황을 보수담당자에게 통지한다.
   o 사고로 인하여 정전된 기계 전선로 등의 복구예정에 관하여는 조사 후 신속히 관계 사업소에 통지한다.
   (바) 기기조작
   o 사고처리 책임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그 사고를 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변전소의 차단기(O.C.B등)의 차단을 배전사령 또는 변전소책임자에게 요구할 수 있다.
   o 선로구분 개폐기의 조작은 반드시  사고처리 책임자의 지시에 따른다. 다만, 사고처리 책임자는 이 취지를 배전사령 또는 변전소 당직책임자에게 미리 통지한다.
   (사) 복구작업의  착수
 선로보수원은 사고발생시 다음에  따라 그 상황을 조사하여 즉시 상사에게 보고하고 그 지휘를 받아 복구작업에 착수한다.
   o 사고장소가 명확할 때에는 즉시 복구공사에  착수하되 발 변전소와 정전 및 송전에 관한 책임이 있는 자와 협의한 후에 하여야 한다.
   o 사고장소가 불명확할 때에는 구분 시험하여 색출한 후에 복구 공사에 착수한다.
   o 특별순시에 있어서 담당순시원만으로는 시간이 지연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관계 책임자는  응원순시원을 파견하여 복구 시간의 단축을 기한다.
   (아) 구분개폐기 조작
 구분개폐기 조작은 공사책임자의 명의로 행하되 다음에 따른다.
   o 지령자 및 수령자의 성명을 확실히 한다.
   o 1명령 2조작을 원칙으로 하고 반드시 복창한다.
   o 조사시에는 사전에 전후 계통에 대하여 숙고 검토한다.

 

2. 지중설비 관리

가. 지중설비 순시
  (1) 순시별 조사항목

         

대   상   설   비

조     사     항     목

 안전순시

 고압이상의 가공설비
 ○시가, 인가지역
 ○농경지정리사업지구
 ○도시계획 사업지구
 ○건조물 신증축 예상 지역

 ○선로주변의 인의적인 환경변화에 의한 사고발생 우려 여부
   - 건조물 신증축
   - 외물 접촉 (수목,안테나,연통,비닐테이프등 )
   - 토지구획정리, 농경지정리 등으로 인한 토지의 형질변경
   - 지형, 지반변경에 의한 지지물의 경사, 도괴우려등

정기순시

 설비전반

 ○ 설비전반에 관한사항
   단, 년차적으로 시정하여야 하는 운영계획사업 대상분은 제외
 ○ 현장에서 조치 가능한 사항은 순시시 조사시정

특별순시

 ○ 사고발생 구간
 ○ 필요개소

 ○ 사고복구에 요하는 사항
 ○ 상사의 명으로 특별히 지시받은 사항

간부순시

 관할설비

 ○ 타시설물 횡단개소의 안전도
   - 도로, 철도
   - 약전선
 ○ 위해개소의 시정상태
 ○ 개폐기류의 운전실태
 ○ 인가지역 경과선로의 안전도
 ○ 계통운전상 필요한 사항
   - 루트 변경
   - 선로간 연결
   - 선로 부하분리
 ○ 유휴설비의 방치여부


 (2) 지중배전선로 순시일지 작성

구 분

점 검 사 항

장 소

내 용

비 고

케이블 접속재

-과열개소
-접지상태
-브라켓트 지지상태
-표시찰 유무
-방호관 이상여부
-피뢰기 설치
-기 타

 

 

 

맨홀 및 핸드홀

-뚜껑요철 유무
-누수여부
-행거 및 써포트 설치
- 기 타

 

 

 

분 전 함

-접지상태
-과열개소
-도색상태
-기타

 

 

 

기  타

 

 

 

 


    o 순시결과보고서
     - "직영분"과 "설계대상분" 구분
     - 위해도에 따라 "즉", "급", "완"으로 구분
     - 시정계획대 실적을 매월 사업소장에게 보고
    o 조치결과 실태점검
     - 주관 : 기획관리실장(기획관리과장)
     - 분기 1회이상 점검

 나. 해저 CABLE의 점검지침

점검항목

표준회수

내                     용

모니터(MO   -NITOR) 위탁

-

 ○ 배 (지) 990-14578(′80. 9. 5)의 “ 해저 CABLE 보호를 위한 모니터운영지침 ”에 의함
 ○ 케이블 육양개소 가까운 주민에게
 1 .해저CABLE 포설 ROUTE上에서의 선박의 정박 어로행위를 금지토록 홍보 및 단속
 2.공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자료의 이해와  계몽

 순시점검

 1 회 / 月

 1. CABLE 입상전주
  가. 붕괴여부
  나. 피뢰기 붓싱파손 및 균열여부와 동작회수
  다. 케이블헷드 붓싱파손 및 균열여부
  라. 케이블헷드 및 피뢰기 염분부착 상태
  마. 리드선 접속 및 열화상태
  바. 기타 사항의 이상 유무

 2. 육표 및 부표
  가. 파손 유무
  나. 페인트 손상유무
  다. 위치 변동 유무

 3. 육상부분 CABLE
  가. 주철관, 트러프, 해저CABLE의 노출유무
  나.  CABLE 매설부위의 무단굴착 유무

 4. 해저부분 CABLE
  가. 불법어로행위 유무
  나. 선박의 불법정박 유무
  다. 어망 및 각종양식장 설치 유무

 잠수점검

1 회 / 년

 매년 태풍후등을 점검시기로 선정하여 잠수부에 의해 수심 약 40m까지 CABLE 및 CABLE 방호관의 상황 등을 점검 실시( 점검결과에 따라 보수가 필요한 경우는 보수계획 수립하여 시행하고, 하자보증 기간 만료 이전에는 하자처리)

 

 다. 보수용자재 보유기준

품  명

 규    격

단위

지 사

지   점

설  비  기  준

1차
사업소

2차
사업소

지상
변압기

22.9kV용

2

1

-

 변압기 50대이상
 보유사업소

2

2

-

가스
절연
부하개폐기

25.8kV, 4Way

2

1

-

 개폐기 50대이상
  보유사업소

케이블

22.9kV
CN-CV

60㎟

m

250

250

-

 60㎟ 케이블 10 C-Xm  이상 보유사업소 (필요시 200㎟확보)

325㎟

m

250×3
드럼

250

-

 325㎟ 케이블 10 C-Xm이상 보유사업소 (필요시200㎟확보)

600V
 CV 케이블

m

200

200

-

 저압케이블 5㎞이상
 보유사업소(규격별합계)

직선
접속재

23kV 용
(60∼325㎟)

12

12

12

 접속개소 500개미만
 보유사업소

24

24

24

 접속개소 500개이상
 보유사업소

종단
접속재

23kV 용
(60∼325㎟)

6

6

6

 접속개소 300개미만
 보유사업소

9

9

9

 접속개소 300개이상
 보유사업소

엘보
접속재

개폐기용

set

24

12

6

 개폐기 50대이상
 보유사업소

변압기용

set

12

12

6

 변압기 50대이상
 보유사업소

맨홀
뚜껑

ψ750

1

1

1

 맨홀 100개이상
 보유사업소

Bay-O-Net
Fuse

 각종

10

10

10

 변압기 50대 미만
 보유사업소

20

20

20

 변압기 50대 이상
 보유사업소


 라. 기기설치 및 운용시 유의사항
 〔판단배(지)853.06-571('94. 1. 17) 중 배전기기 관리교재 참조〕
 지중배전기기의 설치시 도시미관에 저해가 되지않도록 도색,
 기기간의 간격 및 배열상태에 유의할 것

항    목

가스개폐기

지상변압기

비        고

조  상  고  리

돌출되지 않도록 할것

 ※ 안전 및 미관고려

계  기  확  인

가스누설점검

누유점검

 ※ 이상시 즉시 조치

붓  싱  취  급

절대 힘을 가하지 말것

 ※ 가스누설 원인

상 시 개 방 점

붓싱절연처리철저(절연캡시공)

 ※ 안전사고 예방

엘  보  시  공

완전접속 및 접지시공 철저

 ※ 안전사고 예방

케 이 블 지 지

흔들림이 없도록 완전지지

 ※엘보접속재사고원인

곡율반경유지

충분한 곡율반경 유지

 ※엘보접속재사고원인

엘  보  조  작

반드시 조작봉 사용

 ※ 안전사고 예방

안전잠금장치

개폐후 Lock

-

 ※ 안전사고 예방

방 수 테 이 프

방수테이프 완전시공

 ※ 안전사고 예방

개  폐  운  영

고장시조작금지

-

 ※ 안전사고 예방

엘 보 및 휴 즈

-

무전압시 조작

 ※ 안전사고 예방

시  설  장  소

지상원칙

지상

 ※ 고장예방

휴          즈

-

정격확인

 ※ 고장예방

접          지

휴전 작업시 : 접지엘보 적용

 ※ 안전사고 예방

운전시 : 중성선 및 시스접지

 

 마. 유지보수 Check List 

설 비

점   검   사   항

조  치  내  용

조 치 시 기

 케이블접속재

○ 접속재 시설상태
 - 써포트 미지수 여부
 - 맨홀바닥에 접속재 방치
 - 허공에 매달린 상태
 - 접속재  굴곡현상

○실린더 써포트 및 행거를 사용하여 보수공사 실시

즉     시

○맨홀 누수로 물에 잠겨    있는지  여부

○배수작업 수시실시
○누수맨홀 내벽방수 보수공사 실시

즉   시
(년도별보수
계획수립)

○접속재 과열발생 여부

○동일선로 접속재별 표면온도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낸 접속재 점검

즉   시

○접속개소 접지
 - 접속함 접지여부
 - 중성선과 맨홀 접지선과의 접속 여부
 - 접지선 이상유무
○케이블중성선과 가공 중성선연결

○접지시공요령에 의거 접지 보완
○(케이블중성선과 동일굵기)

즉   시

지 상
개폐기

○선로표시
○엘보접지
○엘보에 케이블 장력 발생 여부(케이블고정여부)
○엘보과열 발생여부
○가스압력 (5PSI이상)

○표시찰 부착
○접지기준에 의거 보수
○케이블 고정
○접속재 점검
○가스보충

○자재확보후
즉시 보수

설 비

점   검   사   항

조  치  내  용

조 치 시 기

지 상
개폐기

○맨홀내 개폐기의 케이블 고정유무(장력발생)
○외함접지(제1종 10Ω 이하)
○M/N내 지중용개폐기 관리상태
 - 지상에서 기기조작  가능 여부
 - 맨홀누수여부
 - 접속케이블 장력발생 유무
○지상기기 운반용 조상고리

○실린더 써포트 및 고정용크리트 사용 케이블 고
 - 조작가능토록 개폐기 이동
 - 방수공사 우선시행
 -실린더 써포트 설치 및 고정용 크리트로 케이블 고정
○조상고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조치

○자재확보후 즉시 보수
○ 지중개폐기 맨홀보수 즉시 시행

지 상
변압기

○엘보접지 상태
○외함접지(제1종 10Ω  이하)
○부하 불평형
○과부하 여부
 - 80%이상 부하시 부하증가추이 관찰
○유면계 표시선 이상
○절연유 누유여부
○외함기초대 파손유무
○온도계 확인
○운휴붓싱 절연캡 설치   여부

○접지시공
○접지시공
○불평형 시정공사 시행
 - 부하분리
 - 상간 부하안배
○과부하 변압기 교체 조기 시행
○ OT 보충
○ 기초대 보수
○과부하 상태 또는 누전 여부 확인
○절연캡 설치

  즉      시
         ″
○하기부하전    시정 조치
         ″
  즉      시
     ″

설비

점   검   사   항

조  치  내  용

조 치 시 기

지 상
변압기

○지상기기 운반용 조상고리
 - 관로구 뚜껑 설치여부
 - 벽체 누수 (균열 등)
 - 삽입형 방수장치 설치    여부 (규격사용 여부)

○조상고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조치
 - 관로구 방수처리
  * 관련공문 :판단배(지)
  990.20-5095('91. 4. 1)

   즉    시

케이블
입상주

○입상케이블지지(2개소)
○지지금구 이상유무
○D/L 및 상표시찰
○피뢰기 설치유무
○구분개폐기 설치유무
  ( 입상주 다음 전주 )
○굴곡부분 보호관설치 여부

○설계기준에 의거 입상케이블 지지
○설치
○피뢰기 설치
○구분개폐기 설치
○반할강관 설치

○보수계획
 수립 시행
○볼트조임
○즉시
○설치계획 수립 시행
○단계별 설치
      ″

케이블
헷 드

○매연 및 먼지오염 여부
○동관단자 볼트이완 여부
○절연카바내 물고임여부
○터미널부근 방수테이핑 상태

○헷드 청소
○볼트 조임
○절연카바내 물고임 현상 제거
○방수테이핑 재처리

○점검시 보수 가능분은 병행  시행
○보수연차
계획수립시행

설비

점   검   사   항

조  치  내  용

조 치 시 기

케이블
 헷 드

○접지선 시설여부
○맨홀 접지저항치 측정
  ( 20Ω 이하 )
 - 접지봉식 저항계 또는 신형 후크온메타 측정기 사용

○접지선 시공
○저항치 기준 미달 개소는 접지보강 공사 시행
  (접지선 연장하여 맨홀  외부에 접지시공, 접지저감재사용 )

○단계별 보강계획수립하여  개수

맨홀내
케이블

○관로 인입부분 굴곡개소의 케이블 미지지 여부
○케이블바닥에 방치여부
○허용곡율반경 유지여부

○실린더 써포트 및 행거 설치
○허용곡율 유지를 위하여  고정용 크리트 설치

○자재확보율 즉시 보강

케이블
 누 설
 전 류
 측 정

○측정대상
 - 1순위 : 설치후 10년 이상 경과된 케이블
 - 2순위 : 설치후 7년 이상 경과된 케이블

○연간 측정계획 수립하여  단계적 측정
○케이블 접속개소 또는 케이블 절연체 열화여부 판 단

○년간 수시

 누 수
구조물

○지하구조물 (전력구, 맨홀,핸드홀) 누수상태 파악
○누수개소 파악 

○누수구조물 일제 파악,  누수보강공사 년차계획 수립
 - 내벽 방수

○단계별 보수

 ※ 관련공문 : 판단배 (지) 990.28-20801 ( ′91. 12. 28 )

 

 바. 지중배전선로 인수시 점검사항

구 분

점 검 항 목

점 검 결 과

 비 고

양 호

불 량

보수요

포 설

전력구,관로,수용가구내설치상태

 

 

 

 

인 입

수용가구내,관로구방수장치 및 방수상태

 

 

 

 

케이블헤드

이격거리 크리트 취부상태

 

 

 

 

접 속

접속개소 보호 및 설치상태

 

 

 

 

접 지

접속개소 접지상태

 

 

 

 

방 수

맨홀내 방수 및 누수상태

 

 

 

 

뚜 껑

뚜껑 높낮이 및 시건상태

 

 

 

 

금구류

써포트지지 및 금구류설치상태

 

 

 

 

접 속

접속상태(과열 및 시공상태)

 

 

 

 

가스압

적정여부

 

 

 

 

접 지

접속재 및 기기 외함 접지시공상태

 

 

금구류

설치상태

 

 

기타사항

 

 

 


 아. 2차사업소의 지중업무 처리기준

업 무 내 용

2차사업소

1차사업소

비 고

 지중배전설비의
 신증설공사

준공 절연내력시험 지원

 

 가공선 지중화공사

-

설계 및 준공시험 지원

 

 지중배전설비의 관리
 및 유지보수
- 순시,점검,보수공사
- 고장점색출 및 복구
- 지상기기 고장복구
- 케이블 내압시험 및 열화측정







 


고장점색출 및 복구지원
비상자재 지원
인력부족 및 측정기
미보유시 지원

 

 지중업무 OJT교육
(송배전원,지중전기원)

-

2차사업소 순회교육 지원

 

 특수공법 적용
(케이블 방재시설 등)

-

 

 지중예산 집행

예산배분 및 실적분석

 


3. 지중설비 고장복구

가. 지중배전선로의 고장복구시 착안사항
  (1) 현장출동전 확인할 사항
    o 동작계전기 확인(OCR,OCGR)
    o 고장선로의 구분개폐기 위치확인
    o 고장선로의 취약개소 파악
  (2) 장비 및 자재 확인
    o 장비 : 검전기,메가, 후크온메타,개인안전장구,교통통제기구
    o 자재 : 간단한 보수자재
  (3) 고장구간 검출
    o 선로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개폐기를 개방하여 고장구간판별
    o 단계별로 압축하여 고장구간 확인
     - 평소 위약개소 우선 확인
     - 지상기기 개방확인
     - 지중구조물 뚜껑개방 내부이상여부 확인
     - 선로구간 노면확인
    o 고장구간이 확인되면 건전구간 절체공급
  (4) 고장복구
    o 고장복구에 필요한 장비,자재를 판단하여 운반
    - 장비 : 펌프,경과지탐지기,내전압시험기,가스측정기,고장탐지기
    - 자재 : 직선접속재,엘보,종단접속재 등
    o 고장점이 노출되면 고장원인파악
    o 정전구간이 있으면 가복구하고 본복구방안 검토
    o 정전구역이 없으면 천천히 완벽한 복구
  (5) 고장복구후 조치
    o 정전구역의 신속한 송전
    o 계통원상복구(절체)에 순간정전이 수반되면 부하를 검토하여 심야경 부하시 절체
    o 정전이 수반되지 않으면 고장복구후 즉시 계통원상회복

 

 나. 지중선로사고 원인분석
 

 

  다. 지상변압기 절연유 분출고장 해석
  (1) 변압기 구조 (Padmounted Transformer, 유입자냉식)
   ① 각부의 명칭
     ○ 권선
      - 1차권선(전원에 접속되는 권선)과 2차권선(부하에 접속되는 권선)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철심에 코일상태로 감겨져 있음.
      - 철심과 권선의 절연용이를 위해 저압측(2차권선)을 내측(內側)에 배치.
     ○ 철심
      자로(磁路)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자기특성이 좋은 두께
      0.3mm정도의 규소강판을 성층(成層)시킨 것.    
     ○ 혼촉방지판
      고압권선과 저압권선에 설치하며, 절연파괴 방지를 위해 고저압의 절연물사이에 도체를 감아서 접지를 함.
     ○ 철심과 권선의 배치
      - 내철형은 철심이 내측에 있으며 외철형은 권선이 내측에 있고 철심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것.  
      - 철심구조로는 적철심형은 규소강판을 모양에 맞게 절단한 것을 쌓아서 압착한 것이며, 권철심형은 방향성 규소강대를 용수철
        모양으로 감은 것.  
      - 코일의 권선상호간, 권선과 철심의 사이는 성층절연물이나 프레스보드를 사용하여 절연.
  ② 절연재료
     ○ 절연재료(A종)
     허용최고온도가 105℃이며, 목면, 견사, 크라프트지 또는 유사한 유기질 재료 구성되어 니스류로 함침하거나 유중(油中) 안에 잠겨  있도록 한 것으로 표준 유입변압기에는 이 절연방식을 사용.
     ○ 절연유
     유입변압기의 냉각과 절연에 사용되며, 고체로 되어있는 절연조직의 틈 사이에 침투해 들어가서 절연파괴의 원인이 되는 보이드를 없애는 역할을 하며, 천연광유 또는 합성유(실리콘유) 등이 있음.
 ③ 냉각방식
   기름의 대류작용에 의해 발생열은 외함 및 방열기에 전달되어 대기중으로 방산

 

  (2) 변압기 관리
  ① 온도상승
    ○ 변압기의 온도상승 : 변압기를 운전하면 무부하손, 부하손에 의하여 철심과 권선이 발열하며, 이 열은 절연유를 매개체로 방사(放射), 대류 등에 의해서 외부로 방열되고 이때의 외부온도와 변압기 온도의 차이를 변압기의 온도상승이라고 말한다.
     ☞ 당사 지상설치형 변압기의 권선 및 절연유 온도상승 한도 : 65 ℃
     ※ 변압기의 정격용량 : 30년정도의 수명기대치와 절연물에 허용되는 최고온도에 의해서 결정
  ② 과부하 운전지침
    ○ 전류치의 제한 : 부하전류는 정격전류의 1.5배 이하
    ○ 권선 최고점 온도의 제한 : 150℃ 이하
    ○ 최고 유온의 제한 : 100℃ 이하
    ○ 절연물 열화의 법칙 : 절연물의 수명은 6℃상승할 때마다 수명이 반감
  ③ 열 화
     ○ 열화 대상
     주로 권선을 구성하는 도체피복이나 코일간의 스페이서(spacer) 등의 절연물
     ○ 열화의 원인
      - 열에 의한 열화 :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수명은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
      - 흡습(吸濕)에 의한 열화
      - 산소의 흡수에 의한 열화
      - 부분방전에 의한 열화 : 변압기 내부의 절연적인 결함에 의한 손상
      - 기계적인 응력에 의한 열화
         외부단락, 과전류 등에 의한 전자기계력이나 전자적 진동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절연물의 기계적 파괴

 

  (3) 절연유 분출고장 해석
  (가) 변압기 절연유 분출과정


  ( 저압측 단락, 부하급변 또는 붓싱파손)

 


  ( 1차권선 또는 리드선 지락발생 )

 

  ( 2,000 ~ 5,000 ℃ )


 

  ( 가스발생 : 수소, 탄화수소 등 )

 

  ( 순간압력 상승 )
     ** 수 Cvcle내 탱크압 3.5kg/㎠ 까지 상승

 

 

 

 

 

  (나) 지상변압기 보호장치의 특성
    ○ 보호협조
      - 방출형 휴즈(Bay-O-Net Fuse)
         2차측(부하측) 단락이나 과부하같은 작은 고장전류를 차단
      - 한류휴즈 (Current Limitting Fuse)
         1차측(전원측) 단락과 같은 대전류 영역을 차단


  (다) 절연유 분출 Mechanism
    ○ 고장 모드(Mode)
      - 절연유 덩어리가 탱크의 상부표면에 올라가는 현상 ♣
      - 절연유 표면 가까이에서 아크차단으로 가스분출현상
      - 기층과 아크에 의한 거품체적 사이에서 절연유가 진동하는 현상
      - 짧고 낮은 에너지의 아크가 긴시간 동안 천천히 가스를 생성

        ☞ ♣의 현상이 지상변압기 절연유 분출고장 원인으로 추정

  (라) 고장발생 종합적 분석
    2차측 고장이나 부하변동에 의해 권선이 기계적 힘을 받아 손상되면서 아크 및 가스를 발생하여 기름의 대류에 따라 상승하면서 고압 붓싱단자에서 지락을 발생, 또다른 고온 고압의 가스를 생성하면서 이 가스가 절연유를 상부로 밀어 탱크를 파괴함.

 
   그림. 지상변압기 고장발생 추측개념도  

  (4) 보수점검
   (가) 점검 항목

점검개소

점검 항목

요          점

이상의 원인

변압기

본  체

유온

 주위온도와 부하량 및 온도계의 지침을 기록, 비교

 변압기의 내부이상 온도계지시 불량

이상음 진동

 일상시와 다른음, 진동, 단속(斷續)음의 발생장소

 과여자, 내부 또는 외부의 조임이완, 유중방전

누유

 분말가루로 표시후 관찰

 패킹의 열화, 이완 용접부의 핀홀

부싱단자

누유

 애자의 변색,  부싱부조의 누유

 패킹의 열화, 이완

과열,균열
오손

 진애, 염분의 부착, 코로나음

 조임개소의 이완, 과부하, 외부 및 내부원인의 파손

방압장치

누유
방압판의 균열

 방압변의 균열 및 이완

 방압판의 열화
 패킹의 열화


   (나) 고장 점검
    ○ 고장 유형
      - 2차측 고장
        ㆍ 저압케이블 외상에 의한 지락 및 단락
        ㆍ 저압접속부 과열, 인입 연결점 및 고객 구내 불량 등
      - 변압기 내부고장
        ㆍ 권선 절연불량, 리드선 탈락 등 변압기 내부결함에 의한 고장
        ㆍ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절연유 열화 등
      - 외부 고장
        ㆍ 엘보 접속재 불량
        ㆍ 변압기 외상 (차량충돌 등)
    ○ 고장원인 분석
      - 외관 점검
        ㆍ저압케이블 순시 및 점검 : 케이블외상,고객 구내고장 파급 여부
        ㆍ 변압기 점검
         * Bay-O-Net 휴즈 및 1차붓싱 부위의 누유 여부
         * 외함 부풀음 및 변형여부, 절연유 연소냄새 여부
         * 방압변 동작여부(미동작시 방압변을 조작하여 내부가스 배출)
      - 절연저항 측정
        ㆍ Bay-O-Net 휴즈를 분리한 상태에서 1차붓싱과 접지단자간
           저항  : 0 Ω
           ☞ CL휴즈 리드선 이탈로 외함접촉 예상
        ㆍ Bay-O-Net 휴즈를 투입한 상태에서 1차붓싱과 접지단자간
          저항   : ∞ Ω
           ☞ CL휴즈 동작 또는 1차권선 단선, 리드선 이탈
        ㆍ 1차붓싱과 2차단자간 저항 : 0 Ω
           ☞ 1,2차권선 혼촉
        ㆍ 2차단자간 저항 : ∞ Ω
           ☞ 2차권선 단선 또는 리드선 이탈
      - 기 타
        ㆍ Bay-O-Net 휴즈가 상위용량인 상태에서 용단된 경우
          : 과부하 또는 내부이상   

 

   (다) 측 정
    ○ 항목
       부하측정, 온도측정, 접지저항 측정, 수용가 인입점 전압측정
    ○ 절연유 시험
      - 항목 : 절연유 절연내력 시험 , 절연유 가스 분석
      - 측정기기 : 절연유 절연내력시험기, 휴대용 가스분석기
      - 측정방법
       ㆍ 시료채취 : 운전중인 변압기의 배유밸브에서 시료 채취
       ㆍ 측정가스 : 수소, 이산화탄소, 메탄, 아세틸렌, 에틸렌 등
       ㆍ 이상진단 : 절연유 및 절연지 과열, 아크방전, 절연내력 저하 등

 

4. 지중자재 내역

가. 공정별 지중자재  목차

공정

규격번호

명칭

규격

관로

 ES 106-275~285

 트러프

저압, 직매 1~2회선

 PS 233-70~92

 흄관

 

 PS 233-620~627

 스페이서
(합성수지 직관용)

 

 PS 233-646~655

 합성수지 직관

 

 PS 233-050~057

 합성수지 파형관

 

 PS 233-060~067

 이음관
(합성수지 파형관)

 

 PS 250-572~588

 지중케이블 강관

 

 PS 255-950~956

 강관접속용 스리브

 

 PS 117-095~099

 어댑터
(합성수지 파형관용)

 

 PS 117-96~99

 어댑터

 

      117-051~055

 방진고무

 

      116-060

 케이블 표지시트

 

      106-126

 지중선로표지주

 

      116-991~995

 지중선로표지기

 

입상개소

 PS 117-686
           -687

 입상케이블용 보호관

전주용 입상관
조립식 반활관

      117-550~555

 지지용 강벨트

 

      117-565~568

 지지용 강새들

 

      117-980

 케이블헤드 지지금구

 

      120-301~305

 특고압 수밀형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동전선(OC-W)

 

전선

 ES 126-640~645

 22.9kV 동심중성선 전력케이블

CNCV 60㎟ ~ 325㎟

      126-650~657

 22.9kV CN/CV-W 케이블

 

      230-800

 배전케이블 연소방지제

 

접속재

 

 600V CV케이블

 

 PS 117-810~813
           -862~868

 23kV케이블 종단접속재 및 직선접속재

종단접속재
직선접속재

      117-795~801

 케이블종단접속재(600V용)

 

 PS 117-740~745
           -750~755
           -760~761
           -764~765

 600V CV케이블 접속장치

분기접속 (2, 3조)
종단접속 (2, 3조)
1회선 종단접속
1회선 분기접속

보호장치

 PS 147-050~166

 지상설치형 변압기

 

 PS 147-221~229

 케이블 엘보접속재

 

 PS 151-051~052

 25.8kV 자동부하 전환개폐기(지중선용)

 

 PS 151-161~179

 25.8kV 가스절연 전환개폐기(지중용)

 

      151-056

 지중선로 고장차단기

 

      158-600

 저압분전함

 

구조물
(맨홀,
전력구)

      117-695~696
           -697~699
           -700
           -703~704
           -711~717

 조립식 맨홀 및 기기 기초대

핸드홀
맨홀 (4, 6회선)
통신용
개폐기용 기초대
변압기 기초대

 PS 117-01~15

 앵글형 지지대

 

 PS 117-218~235

 강관형 지지대

 

 PS 117-40~49

 "I"형 행가

 

 PS 117-50~59

 "ㄱ"형 행가

 

      117-250~254

 "ㄱ"형 행가(가변형)

 

      117-900~910

케이블지지대(크리트)

 

 PS 117-775~790
           -792

맨홀 뚜껑

 맨홀 ψ750~900
핸드홀뚜껑

 PS 117-80

훅크(맨홀용)

 

 PS 117-85

발판볼트(맨홀용)

 

 PS 117-87

물받이

 

 PS 117-70~77

맨홀용 사다리

 

 PS 117-081~090

합성수지 관로구

 

      117-158~170

삽입형 케이블 지지대

 

      117-181~184

삽입형 케이블 행가

 

      117-007~009

배전관로구 방수재

 

      117-030~032

관로구 삽입형 방수장치

 

      117-726~735

배전관로구 튜브식 방수장치

 

      117-675, 678

구조물 매설용
접지연결 동봉

 

      117-045

방수시트

 

 

 

제7장 부 록

1. ABC 케이블 배전방식

가. 개 요
 (1) 추진배경
 o 수목전지 곤란지역 대응방안 강구
 o 이격거리 미달개소 해소방안 필요
 o 취약배전선로의 완전절연화로 고장예방

 

 (2) ABC 배전 개요
 o 개요
  전력케이블 3상을 조가선과 하나의 다발로 꼬아 주상에 설치하여
  수목전지 및 선로보수가 불요한 배전방식
 o 설비구성
  - 지지물 : CP주
  - 전선 : ABC(Aerial Bundled Cable) 케이블
  - 변압기 : CSP(Complete Self Protecting) 변압기

 

(3) 시범선로 건설 추진
 o 규모 :  설악산 국립공원 진입로변 외 6개지역 약12km ('98)
 o 대상지역
  - 설비보강이 필요한 2단선로, 산악경과 선로

 

 나. 잠정적용 기준
1. 케이블
 가. 종류 및 정격

종 류

전선규격
 (㎟)

정격전압
(kV)

충격내전압(kV)
(절연체)

삼상용

ABC  95
ABC 150
ABC 300

25.8

150

단상용

ABC  95
ABC 150

25.8

150


 나. 케이블 특성
(1) 케이블 단면도
 

 

NO.

항       목

재       료

1

도        체

 컴파운드 충진 원형압축 AL 연선

2

내부반도전층

 반도전성 컴파운드

3

절   연   층

 가교 폴리에틸렌

4

외부반도전층

 반도전성 컴파운드

5

시        스

 반도전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6

중   성   선

 알루미늄피복 강심 경 알루미늄 연선


(2) 재료 및 구조
 o 도체
 경알루미늄선을 소선으로 구성한 원형압축 연선이며, 도체 내부 홈에는 반도전성 컴파운드를 충진하여 물이 스며들지 않는 수밀형 구조로 제작
 o 시스
 흑색 반도전성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동심원상으로 압축 피복하며 시스의 체적저항율이 외부반도전층과 동일한 500Ω.m 이하로 반도전성 역할 수행
 o 중성선
 알루미늄 피복 강선(AWS)으로 조가선과 겸용으로 사용하여 인장강도와 고장전류 통전능력을 고려하여 규격 결정하여야 하며 단상과 삼상케이블 모두 전력선과 함께 꼬임형태로 출고
 

구 분

AWS 55㎟

AWS 70㎟

AWS 125㎟

케이블 규격

ABC 95㎟

ABC 150㎟

ABC 300㎟

최대사용하중(kg)

2,748

3,276

6,192

 

(3) 연합
 중성선을 중심으로 3가닥(단상은 1가닥)의 상도체를 함께 꼬며 방향은 Z꼬임임

(4) 상표시
 삼상케이블은 상구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A, B, C로 케이블에 상표시를 함.
 

다. 케이블 연선
 o 가공케이블 지지대 설치 (위치 : 상단이 완금취부 위치)
 o 지지대에 조가크램프 설치
 o 케이블 연선을 위해 케이블로라를 매전주 지지대에 설치
 o 케이블 연선후 케이블과 조가선 분리하여 조가크램프에 파지
 o 케이블로라의 밑부분의 고정핀을 제거하여 로라 철거
 o 가공케이블 이도 : 0.7 ~ 0.9m 정도

 

2. 접속재
 가. 접속함
(1) 종류 및 규격

종 류

정 격

용 도

단상용

400(200)A

케이블 및 변압기 접속시 사용

삼상용

400(200)A


 

(2) 구 조
 o EPDM 고무의 접속장치와 스텐레스강으로 된 외함으로 구성
 o 1상당 400A 접속구조 붓싱 2개 : 주회로 연결용
 o 1상당 200A 접속구조 붓싱 : 분기회로(변압기) 연결용
  - 단상용 : 1개
  - 삼상용 : 2개
 o 접속장치, 엘보 고정장치 구비 및 상별 표시
 
나. 엘보접속재
(1) 종류 및 규격 

종 류

정 격

용 도

비 고

L-1

200A

케이블 및 변압기를 접속함에 접속시 사용

변압기, 분기선연결용

L-2

400A

본선 접속용


(2) 구 조
 o 데드브레이크식으로 접속함과 플러그 인 타입으로 접속
 o 접속함 붓싱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구비하고 전압 검전을 위한 시험점과 시험점캡을 구비함.

 

 다. 변압기 리드선 연결 접속재
(1) 종류 및 규격

종 류

정 격

용 도

변압기 리드선 연결 접속재

25.8kV 200A
95㎟

변압기 1차리드선에 접속재가 부착된 구조


(2) 구 조
 o 접속함과 변압기 1차 붓싱단자간을 상호 연결하는 구조로서 리드선 양끝에는 접속함에 부착될 수 있는 엘보접속재(┒형)와 변압기 1차 붓싱단자에 연결할 수 있는 직선접속재(I형)가 리드선에 연결된 일체형 구조   
 o 리드선 규격은 ABC 95㎟로서 길이는 2m이며 접속재는 모두 200A용 임.

 

 

 라. 종단접속재
(1) 종류 및 규격

종 류

정 격

용 도

비 고

J-1

25.8kV 95㎟

ABC 배전선로의 종단접속에 사용

ABC 95㎟

J-2

25.8kV 150㎟

ABC 150㎟

J-3

25.8kV 300㎟

ABC 300㎟




(2) 구 조
 o 1차측 단자는 수밀형 구조로서 케이블 도체 삽입부위와 2차측단자 연결부위의 내부가 구조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구조
 o 자주구성의 편리를 도모키 위해 정방향과 역방향 설치시 기능 및 특성이 동일한 구조로 제작

 

바. 기타 접속재
 (1) 절연캡
   접속함의 사용치 않는 단말개소 절연 목적으로 사용

종 류

정 격

용 도

비 고

C-1

200A

접속함의 사용치 않는 단말개소

변압기, 분기선용

C-2

400A

본선용


(2) 엘보접속용 아답터
  케이블과 엘보접속재를 접속시 사용하는 아답터   

종 류

정 격

용 도

비 고

A-1

25.8kV 95㎟

케이블과 엘보접속재를 접속시 사용

ABC  95㎟

A-2

25.8kV 150㎟

ABC 150㎟

A-3

25.8kV 300㎟

ABC 300㎟


3. 변압기
(1) 종류 및 규격

자재명

상구분

용량
(kVA)

1차전압
(V)

2차전압
(V)

비 고

보호장치 내장형 일단접지 주상변압기 (CSP)

단상

30

13,200

230

Tapless

50

75

100


(2) 특 성
 o 저압측 코일 단일형구조로 2차붓싱 단자수 2개로 축소
 o 보호장치 동작 표시램프 부착
 o COS 기능을 대체한 보호장치 내장
  - 한류휴즈 (차단용량 50kA) : 1차측 고장 및 내부고장시 보호
  - 1차측 차단기(차단용량 2.5kA) : 과부하, 부하측 지락, 단락 등 동작
 o 절연유 온도 상승시 자체 보호
  - 절연유 트립온도 : 95 ~ 110℃
  - 트립 과부하율 : 150 ~ 175%
 o 과전압 보호
  유중 MOV(Metal Oxide Varistor) 피뢰기를 내장하여 낙뢰 및 회로 개폐시 발생되는 충격과전압 보호

 

4. 접지
  매전주마다 설계기준에 의거 시행

 

5. 개폐기
 o 설계기준에 준해 시행
 o ABC용 개폐기는 붓싱을 제외한 일반구조는 가공선로용 개폐기와 동일
 o 피뢰기 설치는 생략

 

6. 내뢰기준
 o 가공지선 설치 ; 설계기준 의거 시행
 o 피뢰기
  - ABC배전의 시작, 말단지점에 가공용 피뢰기 설치
   (선로 중간 미부설)

 

2.  ABC 케이블 접속 실습지도서

 가. 케이블 구조
 

NO

명    칭

재       료

1

 도체

 컴파운드 충전 원형압축 AL 연선

2

 내부반도전층

 반도전성 컴파운드

3

 절연층

 가교 폴리에틸렌

4

 외부반도전층

 반도전성 컴파운드

5

 시스

 반도전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6

 중성선

 알루미늄 피복강심 경 알루미늄 연선


  나. 삼상 접속함
   

 

  다. ABC 케이블 엘보(ㄱ형)접속
     (1) 엘보접속재 단면
 

 나. 실습순서 및 요점
1. 가공 케이블이 접속함에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를 측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부분을  직각이 되도록 절단한다.
 ★상별로 길이를 측정하여 길이가 맞게 절단한다.

2. 가공 케이블 끝에서 260㎜ 지점까지 외피 를 제거한다
 

3. 가공 케이블 끝에서 235㎜ 지점까지 외부반도전층을 제거한다. 이때 절단된 외부반도전층 끝이 돌기가 일정 해야하고 들뜸이 없어야 한다
  ★절연체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 할 것
 

 4. 가공 케이블 끝에서 50㎜ 지점까지 절연체와 내부반도전층을 제거하고 절연체 끝 부분을 2㎜ 정도 둥글게 깍아 접속제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체에 흠이 나지않도록 주의 할 것

 5. 도체에 압착단자를 삽입하고 압착기를 이용하여 2회 압착한다.
  ★압축은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려 가면서 압축한다.

6. 보호카바 고정링을 케이블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7. 절연체 표면을 이물질등이 남아 있지 않도록 솔벤트 세척포를 사용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깨끗이 딱아낸다.

8. 아답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절연체 표면과 아답타 내부에 실리콘 구리스를 도  포하여 아답타의 아래 끝부분과 가공 케이블 반도전층이 겹칠때까지 돌려가며 삽입한다.
 

9. 아답타 표면과 접속재 내부에 실리콘구리스를 도포하여 접속재 삽입이 용이  하게 하고 접속재를 아답타의 턱진부위와 접속재 끝이 일치하도록 삽입한다.
 

10. “L”형 렌찌에 PROBE를 끼워 아답타의 아래 끝부분과 가공 케이블 반도전층이 겹칠때까지 돌려가며 삽입한다
 

11. 외피 끝 부분에서 접속재 접지구멍 부분 까지(약 110㎜)를 방수테이프를   
늘리면서 반겹처 2회 감은후 비닐테이프를 반겹처 2회 감아준다.
 

12. 접속재 보호카바를 접속재에 맞춰 삽입한 후 보호카바 고정링을 밀어넣어 고정시킨다.
 

13. 보호카바용 베일에 볼트를 조립한 후 베일을 양쪽으로 벌려 보호카바의 홈에  맞춰 끼운 후 다른 한쪽 볼트도 조립한다.
 

14. 보호카바 고정링 상부에 비닐테이프를 2∼3회 감아준다.
 

  ⊙접속함의 INTERFACE 부분의 보호켑을 벗겨낸 후 시공된 엘보접속재(보호카바포함)를 힘껏 밀어넣는다.

 

 라. ABC 케이블 종단접속
     (1) 종단접속재 단면    
  

 

    (2) 실습순서 및 요점
1. 가공 케이블이 입상주에 연결될 수 있도록 길이를 측정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부분을 직각이 되도록 절단한다.
 ★상별로 길이를 측정하여 길이가 맞게 절단한다.
 

2. AB 케이블 끝에서
 “A”㎜ 지점까지  외피를 제거한다.
 ★외부반도전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작업

3. AB 케이블 끝에서
 “B”㎜ 지점까지  외부반도전층을 제거한다.
 ★절연체에 흠이나지 않도록 주의

4. AB 케이블 끝에서 40㎜ 지점까지 절연체와 내부반도전층을 제거하고 절연체  끝부분을 2㎜ 정도 둥굴게 깍아 접속제 삽입이 용이 하게 한다.

5. AB 케이블에 절연캡을 삽입한다.
 

 6. 절연체 표면을 이물질등이 남아있지 않도록 솔벤트 세척포를 사용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깨끗이 닦아낸다.
 ★세척시 외부반도전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

7. 접속재 삽입이 용이하도록 절연체 표면과 접속재 내부에 실리콘 구리스를 도포하여 접속재 끝부위가 절연체 끝부분과 일치하도록 돌려가며 끼운다.

8. 외피와 종단접속재의 맞닿은 끝부분에 고압 테이프를 반겹쳐 2∼3회 감은 후 그 위에 비닐테이프를 반겹쳐 2∼3회 감아주고 평와사를 삽입한다.
 

9. 터미널 러그 외면에 실리콘구리스를 도포한 후 평와셔가 조립되어 있는 방수캡에 끼운다.
 

10. 방수캡에 삽입되어진 터미널러그를 도체에 삽입하고 방수캡에서 10㎜정도 띄운 후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순서에 따라 압착한다.

11. 미리 삽입되어진 절연캡을 종단접속재 스트레스콘 부위에 삽입한 후 방수테이프를 반겹쳐 2∼3회 감아주고 그위에 비닐테이프를 반겹쳐 2∼3회 감아준다.

'[참고 자료] > 전기, 전력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S  (0) 2011.11.20
igr누전측정 / 분석  (0) 2011.04.18
접지저항 측정방법  (0) 2010.09.09
접지저항 저감법  (0) 2010.09.09
어스  (0) 201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