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SCADA시스템이란 Supervisory Contol And Data Acquisition의 약어로서,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또는 감시제어, 데이터 수집시스템이라고도 한다. SCADA시스템은 발전.송배전시설, 석유화학플랜트, 제철공정시설, 공장자동화시설 등 여러 분야의 원격지 시설장치를 중앙집중식으로 감시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전력분야에서는 발.변전소의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원격감시ㆍ측정하여 중앙의 급전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급전원의 조작에 의하여 발ㆍ변전소 설비를 제어하는데 이용되며, 전력거래소 중앙급전소에 EMS설비, 12개 지역급전소에 설치된 SCADA설비, 무인변전소를 감시제어하는 급전분소의 소규모 SCADA설비, 발ㆍ변전소 현장에 설치되는 원격소장치(RTU)로 구성된다. SCADA 시스템의 주요기능은 차단기 및 스위치의 닫힘/열림 상태, 계전기 등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원격감시기능, 전압, 전류, 변압기 TAP위치 등을 측정하는 원격측정기능, 차단기 및 스위치의 닫힌/열림 제어, 발전기의 발전량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능, 차단기 및 스위치의 상태변화시 측정값이 설정치 초과 또는 미달시 경보 발생기능, 전압일보/월보 등 정기적인 자료를 통계 기록하는 기능 등이 있다. | |||||||||
중앙급전시스템(EMS)에서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있는 각 발전기의 출력을 조정하는 발전제어방식. 전력계통에서의 수요는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발전량도 이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발전량 조정 기능을 중앙급전시스템을 통해 종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 자동발전제어 기능이다. 자동발전제어 과정은 다음과 같다. EMS의 자동발전제어(AGC) 기능을 통해 각 발전기에 대한 발전량 정보가 전달되면 해당 발전기의 조속기(속도조정기)가 동작하고, 조속기는 제어대상이 되는 발전용 터빈의 속도를 자동발전제어 시스템에서 전달된 정보와 일치시키도록 함으로써 각 발전기의 출력이 제어된다. 자동발전제어 대상이 되는 중앙급전발전기는 현재 약 250기에 이르고 있다. | |||||||||
| |||||||||
주어진 전력설비를 여러 가지 제약 조건, 예를 들면 수급 균형의 유지와 운전예비력 확보, 송전 선로의 안정도 유지 등을 고려하면서 전력수요에 맞추어 총 발전 연료비와 송전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운전중인 각각의 발전기에 출력을 경제적으로 배분하는 것을 말한다. 경제급전을 위하여 발전기간의 출력배분은 각 발전기의 증분비(단위출력을 증가하는데 요하는 증가 경비)가 같게 되도록(등증분 연료비운전) 배분하고 발전소와 수요지점의 송전거리에 따라서 송전손실도 증가하므로 발전단에 있어서의 증분비를 수요단으로 환산하는 페날티팩터를 고려하여 배분한다. - 증분연료비(Incremental Fuel cost of Generation) 증분연료소비율에 연료단가를 곱한 것을 말하며, 출력 P로 운전중인 어느 발전기가 출력을 미소량 △P만큼 증가 시켰을 때 연료비가 △F만큼 증가했다고 하면 이때의 △F와 △P의 비율(△F/△P)로 되는 것이다. 즉, 연료비 대 출력간의 관계이다. - 등증분연료비운전(Operation for Equal Incremental Fuel Cost) 각 화력발전기의 증분 발전비용이 같게 되도록 각 발전기 출력을 배분해 주면 가장 경제적인 부하배분이 되며, 이와 같이 각 발전기의 증분연료비가 균등하게 되도록 운전하는 것을 등증분 연료비운전이라 한다. | |||||||||
| |||||||||
전력계통내의 수많은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기가 어떠한 상태로 흘러 수용가에게 공급되는가? 계통이 변경되거나 송전선, 발전기 등이 불시정지 되었을 때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등의 현상을 모의(simulation), 분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일컫는다.
출처 : 전력거래소 |
'[참고 자료] > 전기, 전력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 배전시스템 개발계획 (0) | 2016.02.14 |
---|---|
제6차 장기 송배전 설비계획 (0) | 2013.09.04 |
igr누전측정 / 분석 (0) | 2011.04.18 |
지중 배전 (0) | 2010.10.25 |
접지저항 측정방법 (0) | 201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