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신 재생 에너지 관련

연료전지시설 등 예산 투입 ‘의욕적’

凡石 2009. 2. 9. 12:57

 

연료전지시설 등 예산 투입 ‘의욕적’

 

이권진 apery@gasnews.com

 

▲ 서울시가 마곡지구에 세우려는 지하형 10㎿급 연료전지발전소 조감도

수소경제와 관련한 에너지정책에 지자체들이 적극적이다. 대표적으로 서울시를 비롯해 전라북도와 경상북도 등이 상당히 의욕적인 자세다. 근래 들어 구체적인 목표를 속속 제시하고 인프라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006년 정부가 밝힌 ‘친환경 수소경제 구현을 위한 국가 마스터플랜’도 이러한 지자체의 수소경제 이행 정책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시 정부는 2040년까지 국내 에너지 가운데 수소의 비중을 15%, 연료전지 산업 비중을 5%로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2012년까지 약 3조2000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지원될 계획을 세웠었다. 정부 발표 후 약 3년, 지자체가 추진하는 에너지정책은 어디까지 왔을까?

 

친환경 서울의 필수품

서울시는 대대적인 수소연료전지 설비 도입을 통해 수소경제 실현에 한발 더 나아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 가정용 연료전지 2차년도 모니터링 사업에 참여해 전체 보급대수인 70기 가운데 30기를 서울시내에 설치키로 했다. 모니터링 사업예산만 39억8000만원. 국고지원금 30억원과 서울시 기후변화기금 9억8000만원으로 충당하게 된다.

아울러 마곡지구에 단일규모로는 세계 최대인 10㎿급 연료전지 발전소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당 연료전지 발전소 가격이 평균 500만원이라면 약 500억원의 시장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는 셈이다. 여기에 장기적으로 20㎿까지 연료전지 발전시설을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서울시는 신재생에너지 랜드마크로 조성하는 상암월드컵 경기장에 수소스테이션 건설계획도 잠정적으로 구상하고 있다. 수소스테이션은 수소연료전지 버스를 비롯해 승용차 운행 사업과 맞물려 있어 앞으로 수송용 연료전지 시장도 확대될 전망이다.

 

수소도시로 불리는 전북

전라북도는 막대한 예산을 집행하면서 종합적인 연료전지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방폐장 부지선정에 따른 1000억원(국비 800억원, 지방비 200억원)의 정부지원금을 100% 수소경제 도입에 환원했다. 부안군 하서면에 들어설 수소파워파크는 국내 수소연료전지 산업의 거점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최근에는 에너지관리공단 컨소시엄이 운영기관으로 선정되면서 설계를 비롯한 조성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아울러 수소연료전지 특성화대학원으로 전북대를 선정해 매년 수백명의 전문 연구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북도내 주요 거점도시를 연결하는 수소고속도로(Hydrogen Highway)를 건설하고 수소스테이션을 설치해 수송용 연료전지 차량의 실증과 홍보사업을 전개하는 코스도 개발한다. 이 사업에 전북은 2012년까지 5년간 50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울릉도를 수소 아일랜드로

경북도는 울릉도를 ‘수소 아일랜드’로 만드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총 사업비 1500억원을 투자해 수소파워파크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12년까지 수소연료전지 발전설비를 비롯해 수소저장탱크, 가스배관망, 수소스테이션 등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또한 1㎾급 가정용 연료전지 50대를 운영하고 수소연료전지 버스를 운행하는 것도 구상했다.

이러한 경북도의 계획은 아이슬란드를 모델로 하고 있다는 평가다. 아이슬란드는 지난 1998년 세계에서 제일 먼저 수소경제를 추구하겠다고 선언했다. 현재 자동차, 어선용 연료 분야를 중심으로 풍부한 수력을 이용해 연간 2000톤의 수소를 생산하고 있다. 아울러 오는 2030년까지 자동차와 어선 전부를 수소연료전지로 대체할 계획이다.

 

넘어야 할 과제는

지자체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부담은 국내 기술력의 신뢰성 검증이다. 수소연료전지 산업이 초기 시장인 국내 여건상 외국  부품을 비롯한 일부 시스템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자체적으로 연료전지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대기업과 연구소 등의 상용화 시장 진출이 관건이다.

이와 함께 국내 수소연료전지와 관련한 법과 제도의 정비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 국내 기술력이 세계 수준에 있지만 상용화에 근접하지 못하는 것 가운데 가장 큰 요인이 각종 규제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 투입되는 연료전지 시설에 대한 법·제도가 분명치 않거나 전무해 관련 기업들이 곤혹을 겪고 있다.

이밖에도 아직까지도 수소충전소, 수소연료전지 버스 등 수소연료전지 관련 시설에 대한 대국민 홍보가 미비한 상황이다. 수소연료전지 시설이 위험물이라는 인식이 돌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교육홍보가 절실한 시점이다.

 

2008년 06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