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와 가난으로 죽어간 위대한 음악가 차이코프스키 동성애와 가난으로 죽어간 위대한 음악가 차이코프스키 차이코프스키의 죽음에 관해선, 모차르트의 죽음에 대해 독살설이 좀체로 사라지지 않는 것처럼, 오랫동안 자살설이 끈질기게 나돌았다. 차이코프스키는 그의 마지막 작품이 된 <비창> 교향곡의 초연을 지휘한 9일 인 1893년 11월 6일 사망했..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진지한 출발점- 브람스의 교향곡 제1번 1. 시작하며 나의 교향곡 감상을 향한 진지한 항해의 첫 출발점은 베토벤의 [운명. 합창] 교향곡과 함께 브람스의 교향곡 [제1번과 4번]이었다. 모차르트의 후기 교향곡[ 39.40.41번]과 차이코프스키의' 비창', 드보르작의 '신세계'는 그냥 들려서 듣는 정도의 수준에 있었고... 그러나 꽤 즐겨 들었다. 좋은 ..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초심자를 위한 클래식 음악감상 10계명 초심자를 위한 클래식 음악감상 10계명 꽤 된 뉴스이지만 우리나라 음반 시장에서 클래식 음반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3퍼센트 밖에 안 된다고 합니다. 그만큼 대중가요, 팝, 재즈 이런 장르에 비해 클래식 음악을 듣는 사람들은 매우 소수라는 이야기가 됩니다.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클래식 음악을 많..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세심하게 신경써야 할 공연장에서의 박수 에티켓. 그리고 그 역사 세심하게 신경써야 할 공연장에서의 박수 에티켓. 그리고 그 역사 한국 사람은 박수에 좀 인색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희노애락 감정을 헤프게 나타내지 말라는 선현들의 말씀 탓인지는 모르겠으나 이제는 세상도 많이 달라졌으니 감정 표출을 다소 과장될 정도로 드러내도 상관없는 때가 되었다고 할..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음악평론지 그라모폰(Gramophone) 선정 클래식 레코딩 100선 음악평론지 그라모폰(Gramophone) 선정 클래식 레코딩 100선 1995년 10월에 영국의 음악 평론지 그라모폰(Gramophone)에서 자사의 창립 70주년 기념일을 맞이해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클래식 레코딩 100개를 선정해 발표적이 있습니다. '100 Classical'이란 제목의 올컬러북으로 소개됐는데요 각각의 레코딩에 대..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바로크 음악, 머리가 좋아진다 바로크 음악, 머리가 좋아진다 - CBS영재학술원 하종덕 소장 - 머리가 좋아지는 음악이 있다? 공부 때문에 고민하는 학생이나 어린 자녀를 키우는 학부모라면 귀가 솔깃해질 말이다. 요 근래 대형 음반매장의 클래식 코너에 가면 음반 을 고르고 있는 중·고생이나 어린 자녀를 데리고 나온 부모를 심심..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모짜르트 교향곡 입문 모짜르트 교향곡 입문 모짜르트의 교향곡은 모두 41곡이라 알려져 왔습니다. 이 중 몇 개인가는 모짜르트의 작품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새로 발견된 교향곡의 숫자가 더욱 많아 요즘은 약 50곡 정도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정설입니다. 하지만 이중 대부분은 현대적 개념의 교향곡으로 보기 어려운..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오라토리오(Oratorio)와 칸타타(Cantata) 오라토리오(Oratorio)와 칸타타(Cantata) 원성희 교수(본명 : Dorothy Underwood, 새문안음악교육원 원장, 이화여대 명예교수) 오라토리오와 칸타타는 바로크 초기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인 중요성과 인기를 가지고 있는 성악형식이다. '특별한 때나 행사를 위하여, 비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두 ..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기초 성악 발성법 모음 기초 성악 발성법 모음 박정원교수 발성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호흡입니다. 호흡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소리 자체도 달라지고, 물론 소리라는 것은 타고나는 자기의 나름대로의 소리가 있지만 호흡을 사용하면 좀 더 좋은 소리를 낼 수가 있고, 또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미사곡의 이해 미사곡의 이해 종교음악이라고 하면 좀 듣기가 어렵고 지루하다 생각하기 쉽고 사실상 조금은 그렇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종교란 낱말이 들어가면 왠지 딱딱하고 엄숙한 느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느낌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즐겨듣는 고전음악의 뿌리가 종교음악이기에 대강이라..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서양음악사 통론] 15세기 ~ 20세기초까지 [서양음악사 통론] 15세기 ~ 20세기초까지 1.르네상스시대 15세기 후반부의 음악[ 개요] 르네상스(Renaissance)의 '재생'이라는 의미는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이 추구한 학문, 문화, 예술에 대한 이념적 복귀라고 해석될 수 있다. 고대(古代)로의 이러한 이념적 복귀는 인본주의적 사상을 기초로 하고 있..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샤콘느와 파르티타에 대해 샤콘느와 파르티타에 대해 목차 ; 1. 샤콘느(chaconne)에 대해 2. 무반주 바이올린 파르티타 제2번 d단조 - bwv1004 3. 파르티타 제 2번의 샤콘느 4. 샤콘느의 연주 형태 5.샤콘느에 대한 맺음말 1. 샤콘느(Chaconne)에 대해 샤콘느(chaconne) 혹은 치아코나(ciaconna)라는 형식의 곡은 17, 18세기에 널리 쓰인 기악곡의 한 ..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클래식 작품번호를 만든 사람들 클래식 작품번호를 만든 사람들 대부분의 음악작품에는 으레 작품번호가 매겨져 있다. 보통은 작품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Opus의 약자 'Op'로 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별도로 몇몇 작곡가의 작품에는 고유의 표기가 따라 붙는다. 그 표기는 위대한 작곡가들의 작품을 분류하고 확인하여 카탈로그..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우리음악, 그 맛과 소리깔 우리음악, 그 맛과 소리깔 - 신 대 철(강릉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음악과) Ⅰ. 우리 문화와 역사, 그리고 우리음악의 관계 음악은 문화의 소산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우리음악은 당연히 우리 문화의 한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음악을 우리 문화의 하나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우..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바흐 음악의 연주와 해석의 문제 바흐 음악의 연주와 해석의 문제 '정격연주 (원전연주)'라는 말을 들어본 일이 있을 것이다. 대개는 고음악을 당시 악기와 주법으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 바탕에는 작곡가의 의도대로 연주하는 것, 또는 당시의 소리를 그대로 재현하는 연주가 정격의 연주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그러나 작곡..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악기를 알면 음악이 들린다 ; Violin - 바이올린 주법과 구조 악기를 알면 음악이 들린다 ; Violin 바이올린의 구조와 주법 1. 머리말 바이올린이란 작은 악기에 대해 생각하면 할수록 그 신비로움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 작은 몸통에서 어찌 그리 강렬한 음악이 터져나오는 것인지! 오늘, 특별한 자리를 빌어, 어느 이름 모를 바이올리니스트가 바이올린을 향..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테너 강무림 교수의 발성법 테너 강무림 교수의 발성법 * 숨을 저장할때는 항문이 아픈 느낌과 구토할때 명치가 아픈 느낌을 받는 가운데 저장 * 고음을 올릴때는 명치에 힘을 주어 끌지말고 한번에 올릴것. * 공명 장소는 "움"과 "아"할때 붙었다가 떨어지는 장소가 울릴수 있도록 할것 * 스타카토는 명치에 힘을 주어 빠르면서도 ..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소나타 형식(Sonata Form) 소나타 형식(Sonata Form) 소나타 형식은 기본적으로 제시-이탈-복귀로 이루어진 3부분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인류가 수 십 세기를 소비하고 발견한 이 간단한 틀은 음악뿐만 아니라 문학, 연극 등 서술구조를 가진 모든 장르의 예술에서 발전을 포함하면서도 앞서 제시되었던 주제의 원형이 다시 돌아옴..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음악의 효과 | 듣는 즐거움 음악의 효과 | 듣는 즐거움 Ⅰ. 여는 말 음악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음악을 자신의 건강과 하는 일에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사람은 극히 드뭅니다. 음악을 다소 사치스럽게 혹은 천박하게, 아니면 오히려 고고하게 생각하여 멀리 하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젊은 층 일부에서는 강렬한 ..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의 비교 The Marquise de Pompadour, 1756. 178KB François Boucher (1703-1770)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의 비교 1. 고전주의 시대 (1750~1827) ▣고전주의 시대 배경: 보통 J.S. 바흐가 죽은 해인 1750년부터 1800년대의 중반으로 보고 있다.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경계가그렇게 쉽게 구별되지 않기 때문에 몇가지 견해가 있다. 왜..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클래식 모음 종합 No 작품명 1 구노 아베마리아 2 구노 파우스트 GOUNOD Faust 3 그레고리안 찬트 음악 4 그리그 솔베이그의 노래 Barbara Hendricks 5 그리그 페르귄트 모음곡1 Op.46 중 1st Morning 6 그리그 페르귄트 모음곡1 Suites Nos.1 7 그리그 페르귄트 모음곡2 Suites Nos.2 8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A단조 Op.16 9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파..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모차르트가 본 베토벤, 베토벤이 본 모차르트 *제가 예전에 하이텔 동호회에서 올렸던 글인데 조금 수정하여 올립니다. 혹시 추가할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차르트와 베토벤은 고전파를 대표하는 작곡가이자 음악사상 최대의 작곡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두사람이 서로 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고음악작곡가리스트(연도순) 아칸젤로 코렐리(1653-1713) 이탈리아 요한 파헬벨(1653-1706) 독일 토마스 안토니오 비탈리(1663-1745) 이탈리아 프랑소와 쿠프랭(1668-1733) 프랑스 알레산드로 마르첼로(1669-1747) 이탈리아 토마소 알비노니(1671-1751) 이탈리아 안토니오 비발디(1678-1741) 이탈리아 게오르그 필립 텔레만(1681-1767) 독일 도미니코 스카..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개인적으로 인식하는 오케스트라사운드의 시각적이미지 한때 참 많이도 실황공연에 드나들었습니다.. 물론 저렴한 국내 오케스트라들이 주 메뉴였고요..^ 그 와중에서 국내 오케스트라들에 대한 불만도 왕창 쌓였었지만, 어쩌다가 배달의 투지를 십분 발휘하여 눈물이 철철 흐르도록 집 중한 연주를 한두번 만날땐 전율을 느끼기도했습니다.. 서울 로열심포..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최고의 유럽 오케스트라 TOP 10 최고의 유럽 오케스트라 TOP 10 아베이유뮤직 닷컴이라는 프랑스 사이트에서 각국 음악잡지(오스트리아 제외) 편집장들을 대상으로 조사했다고 합니다. 순위는 아래와 같으며 자세한 기사는 링크를 봐주세요~ ※ 영어기사 보기 -> 클릭 ※ 한글기사(중앙일보) 보기 -> 클릭 TOP 10 오케스트라 (평점) 1...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모짜르트 제대로 알기 모짜르트 제대로 알기(위키 백과사전에서 퍼왔습니다) 요즘도 모짜르트를 살리에리가 죽였다고 믿는 분이 계셔서 이렇게 퍼왔습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년 1월 27일 - 1791년 12월 5일)는 서양 고전 음악에서 가장 중요하고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작곡가이자, 역사상.. [취미생활]/Classic 2009.04.27
국민 테너(?) 임웅균 국민 테너(?) 임웅균 저는 어렸을 적에는 테너 엄정행이 우리나라 최고의 성악가인 줄 알고 자랐습니다. 당시 그가 부른 목련화는 빅힛트였지요. 그런데 시간이 흐르고 나서 그의 발성이 온전한 벨칸토 창법이 아니고 정식 성악 교육을 받고 음대에 들어가신 분도 아니라는 얘기에 큰 충격을 받은 적이.. [취미생활]/Classic 2009.04.27